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3,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태백 구문소에는 고생대 기후의 흔적이 남아있다
2022.06.25
구문소의 전경. 절벽에는 작자 미상의 한문이 새겨져 있다. 우경식 제공 강원도 태백시에는 구문소라는 멋진 연못이 있습니다. ‘구문’은 구멍의 옛 ...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관련기사 [파고캐고 지질
학자
] 18화. 석회암에 찍힌 네모난 자국의 정체는? 태백 ... ...
'맨눈에도 보인다' 거대 박테리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박테리아를 처음 발견한 사람은 프랑스령 서인도제도 과들루프 앤틸레스대의 해양생물
학자
인 올리비아 그로 교수다. 지난 2009년 맹그로브 숲에서 공생 박테리아를 연구하다가 흰 색의 실처럼 생긴 유기체를 채집했다. 처음엔 균류와 같은 진핵생물로 여겼지만 연구를 통해 거대 박테리아로 ... ...
감전된 새들이 산불을 일으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위험뿐 아니라 멸종위기의 조류에게 치명적 위협이 된다는 점을 더 우려했다. 이란 과
학자
들은 2018년 이란에서 감전사한 조류 235마리 중 15%가 초원 수리와 이집트 독수리 같은 보호 대상 종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영국 버밍엄대 그레이엄 마틴 교수는 “독수리나 그와 유사하게 날개가 크고 ... ...
중국 연구팀 "외계신호 포착"주장에…천문
학자
들 "인간이 만든 무선신호 오인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호주 파크스 전파망원경에서 측정된 외계에서 온 것으로 추정됐던 신호는 실험 결과 과
학자
들이 점심을 전자레인지에 돌리면서 전자레인지를 여닫을 때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 ...
별 데이터와 인공지능 합친 점성술은 과학일까
2022.06.18
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포러 효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1948년 미국 심리
학자
버트넘 포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 검사를 시행했다. 하지만 검사는 사실 거짓이었고, 포러는 모두에게 똑같은 분석 결과를 보여줬다.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좋아하고 존경하기를 바라는 큰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때로는 탐사선으로 가까이 다가가서 천체를 살피고자 노력한다. 지은 책으로 ‘천문
학자
는 별을 보지 않는다’, 옮긴 책으로 ‘우아한 우주’ 등이 있다. ... ...
KAIST 뇌인지과학과·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인간의 인지와 사고, 행동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의학적·공학적으로 응용하는
학자
들과 학생들이 자유롭게 연구하는 학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KAIST는 이날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설립도 발표했다. 최근 수년간 획기적으로 발전한 기계학습·인공지능·빅데이터 등 기술을 ... ...
모기 탈피 막아 성체로 못 자라게 하는 새 퇴치법 개발
연합뉴스
l
2022.06.16
새로운 방안을 찾아냈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학(UCR)에 따르면 이 대학 곤충
학자
야마나카 나오키 부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모기가 탈피 과정에서 꼭 필요한 호르몬인 '엑디손'(ecdysone)을 세포로 운반하는 단백질 중 가장 중요한 한 종이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 ...
[김우재의 보통과
학자
] 프라운호퍼와 한국 기술자의 몰락
2022.06.16
장인으로 시작해 과
학자
이자 엔지니어로 생을 마친 프라운호퍼의 묘비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망원경이 그려져 있다. 위키피디아 ... 다닌다. 과
학자
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
학자
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2022 필즈상 후보] (8) 동역학계 기대주 버리우 페테르 케임브리지대 교수
수학동아
l
2022.06.11
종 모양의 폭을 구한 것입니다. 임선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수십 년 동안 많은
학자
가 직관적으로 추측만 했던 것을 엄밀하게 밝혀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합니다. 또 특정한 공간에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물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데 쓰이는 확률 측도들을 합쳐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