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3,991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12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우주카메라가 찍은 사진이 공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현재로서는 확인하기 어렵다. 첫 이미지를 공개한 뒤에는 천문
학자
들을 포함한 과
학자
들을 위한 제임스웹의 공식 미션이 수행된다. 적외선 영역에서 우주를 관측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지금까지 확인하기 어려웠던 우주의 팽창, 우주의 진화 등에 관한 새로운 연구들이 속속 나올 ... ...
[논문감시] ‘논문 한 편 쓰고 끝’ 67% 영재들
과학동아
l
2022.06.04
건 어쩌면 호기심을 충족해줄 사람이 없기 때문일 것”이라며 “마찬가지로 아이들이 과
학자
로 성장할 수 있도록 호기심을 펼칠 장을 만들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지난 4월 22일 충북자연과학교육원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자현미경 연수가 진행됐다. 충북자연과학교육원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은 언제나 아프다
2022.06.04
평가에 덜 흔들리게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우선 점점
학자
로서의 입지를 다지면서 다른
학자
들의 부정적 평가가 영향력을 덜 발휘하게 되고 늘 좋은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압박감도 덜해진다고 했다. 심리학에서 정의하는 권력이란, 이렇게 타인의 평가에 ‘덜’ 영향 받을 수 있는 힘이다. '지위가 ... ...
기린 긴 목은 치열한 짝짓기 싸움용 무기의 진화 결과
연합뉴스
l
2022.06.03
자체는 7개로 다른 포유류와 같다. 논문 공동 저자인 미국 뉴욕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
학자
멍진 박사는 "전통적 가설은 기린의 긴 목이 높은 나뭇가지의 잎을 먹기 위해 진화한 것으로 설명해 왔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초기 기린과 동물 중에는 목이 길지 않고 박치기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 ...
UFO 존재는 확인했다는데…과
학자
들이 외계인 가능성 낮다고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6.03
밝혔다. 외계인 존재에 대한 의문은 193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이탈리아 출신 과
학자
엔리코 페르미가 언급하면서 커지기 시작했다. 우주에 태양과 같은 항성이 무수히 많다면 지구와 유사한 행성과 인류와 유사한 지적 생명체도 우주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야 한다며 외계의 지적 생명체 존재 ... ...
[김우재의 보통과
학자
]노벨상의 권위, 과학의 일탈
2022.06.02
오렌지와 비타민C 분자모형을 들고 있는 폴링(1901-1994). 위키피디아 제공 “이처럼 논란이 되고 있는 비타민C 대량 복용 요법은 아직 정통 의학 ... 다닌다. 과
학자
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
학자
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IBS 새 연구단장에 최초로 행성 연구자 임명…DLR 출신 이연주 단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IBS)에 새로 설립되는 연구단의 신임 단장에 금성 대기를 연구한 30대 여성 행성 기후
학자
가 선임됐다. 지금까지 지구과학과 우주론을 탐구하는 연구자가 IBS 단장에 선임된 일은 있지만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 분야를 탐구하는 연구자가 단장에 지명된 것은 처음이다. IBS는 내달 1일 대전 유성 ... ...
역대 최장이라더니 이듬해 '찔끔'… 여름 장마 매년 예측불허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진동 패턴, 엘니뇨, 서태평양 온도 등 전 세계 대기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국내 기상
학자
들은 각각의 요소가 한반도 장마전선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고 있다. 장은철 공주대 대기과학과 교수 겸 장마특이기상연구센터장은 30일 ‘우리나라 여름철 장마의 이해’라는 주제로 5월 언론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공룡의 피는 따뜻했을까
2022.05.31
냉혈동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150년 가까이 지난 1960년대 후반부터 몇몇 고생물
학자
들이 다른 얘기를 하기 시작했다. 현존 포유류나 조류처럼 공룡이 온혈동물이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는 새가 공룡의 후손 또는 공룡의 한 갈래(6600만 년 전 소행성 충돌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라는 학설에서 ... ...
[과학게시판]정재웅 KAIST 교수, ‘현우 KAIST 학술상’ 수상자로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현우 KAIST 학술상'은 곽수일 현우문화재단 이사장이 KAIST에서 우수한 학술적 업적을 남긴
학자
들을 매년 포상하기 위해 기부한 재원을 기반으로 마련됐다. 정 교수는 뇌 질환 극복을 목표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무선 원격 뇌 신경회로 제어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지난해 국제학술지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