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스페셜
"
nasa
"(으)로 총 781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
2018.03.14
우주론과 일반상대성 이론 연구를 시작했다. 스티븐 호킹. 1980년대 모습이다. -
NASA
제공 호킹은 블랙홀과 우주에 관한 연구에 일반상대성 이론을 접목하며 우주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개척했다. 그는 블랙홀의 중심에 있는 밀도가 무한대인 점을 말하는 ‘특이점’(singularity)을 우주 전체에 적용,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 스테판 르뒥 - 2012년부터 지금까지 활약 중인 화성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 -
NASA
제공 화성, 유로파, 타이탄.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과 위성이다. 한편 지금까지 관측된 외계행성 수천 개 가운데 지구형 행성도 꽤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많은 생물들이 우글거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부딪쳐 폭발하는 것이다(그림). 최근 이 둘을 구별할 수 있는 관측결과가 발표됐다. -
NASA
제공 ● 폭발 잔해가 동반성에 충돌하며 파란빛 나와 학술지 ‘천체물리저널레터스’ 8월 20일자에는 격변변광성이 폭발하는 1형 초신성에 관한 흥미로운 관측결과가 실렸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동반성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동의했다. 문득 2010년 ‘비소박테리아’ 논문 해프닝이 떠오른다. 당시 미항공우주국(
NASA
)은 정말 놀라운 연구결과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했고 며칠 뒤 기자회견에서 DNA이중나선 골격에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밝혀 과학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내놓지만 대부분 폭발 잔해에 흡수돼 관측되지 않는다. 제1형 초신성 G299의 잔해 모습. -
NASA
제공 ● 베타플러스붕괴로 생성 그런데 수년 전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학자 프랭크 클로우스 교수의 책 ‘Antimatter(반물질)’을 번역하면서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 우리가 매일 쬐는 햇빛 가운데 10%는 그 ... ...
영웅적인 행동도 여성이 하면 과소평가 된다?
2017.05.27
지뇽뇽의 사회심리락 블로그] 얼마 전 라는 영화가 주목을 받았다.
NASA
에서 인류 최초로 인간을 달에 보내기 위해 ‘인간 컴퓨터’로서 수학 계산을 담당했던 흑인 여성들에 관한 이야기다. 60년대는 아직 ‘법적’으로도 흑인에 대한 차별이 광범위하게 남아있었던 시절이다. 흑인과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15년도에도 한층 개선된 1000큐비트의 ‘디웨이브2X’를 도입하기도 했다. 미항공우주국(
NASA
) 에임스 연구센터에 설치된 디웨이브 양자컴퓨터. -
NASA
제공 이 컴퓨터에 적용된 양자 어닐링 기술은 큐비트 신호를 처리하는 양자 게이트를 이용하는 범용 양자컴퓨터와는 다른 자연계에서 최솟값을 찾는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
2017.02.26
무마하는 경우들 말이다. 실제로는 어떨까? ● 직급과 도덕성 최근 미국에서 정부 기관(
NASA
, 국방부, 법무부, 환경부 등)에서 일하는 약 1만1000명의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1년 간 자기 조직 내부에서 벌어지는 불법적이거나 비도덕적인 행태에 대해 ‘고발’한 횟수에 대해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프린스턴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공부에 시큰둥하던 진은 방학 때 미 항공우주국(
NASA
)에서 인턴을 하며 물리학자들이 연구 모습을 지켜보고 물리학에 진지하게 접근하기 시작했다. 시카고대에서 초전도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1995년 미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에릭 코넬 교수팀에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VLA)을 갖고 일하게 됐다며 마오는 흥분을 감추지 못한다. 그러면서 현재 미항공우주국(
NASA
)에서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을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 프로젝트를 지휘하고 있는 매더에게 JWST(2018년 설치될 예정)에서 얻을 가장 중요한 결과가 무엇일지 묻고 있다. 1997년 개봉한 영화 ‘콘택트’ 포스터의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