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스페셜
"
nasa
"(으)로 총 7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자리 부족하고 경쟁도 심해… 위기의 젊은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6.10.30
바가 없었다. 먼저 마리아 주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대기행성과학과 교수팀은
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미국 메이랜드대 등 공동 연구진과 함께 달의 중력장 분포를 지도로 만든 뒤, 이를 활용해 메어 오리엔탈의 세부 구조를 파악했다. 크레이터의 어느 지점에 질량이 쏠려 있는지 파악해 ... ...
SF거장 ‘조지 웰스’ 탄생 150주년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6.09.11
감명을 받아 우주개발에 뛰어들었다. 그는 액체연료 로켓을 개발하고 미국항공우주국(
NASA
)에서 달 탐사와 아폴로 계획을 이끌었다. 핵무기가 등장하는 소설 ‘해방된 세계’는 실제로 핵 개발자들에게 영감을 줬다. 소설이 나온 1914년은 핵무기 제작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던 때였다. 그의 ... ...
가장 효과 좋은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04
은빛 물질을 발견했다. 돈은 세레스 상공 380㎞ 궤도를 돌며 관측작업을 진행했다. 현재
NASA
는 추가 관측을 위해 돈의 궤도를 1400㎞로 높이는 공전궤도 수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것이다. 생존한 과학자 가운데 가장 유명인사인 스티븐 호킹. 1980년대 모습이다. -
NASA
제공 필자의 마음이 이렇게 변한 건 수년 전 나온 호킹의 자서전 ‘나, 스티븐 호킹의 역사’를 읽고 나서다. 책에서 호킹은 자신을 유명하게 만든 루게릭병의 진행과정을 담담히 서술하고 있는데 그런 일을 ... ...
호킹 “나노 돛단배로 ‘인터스텔라’ 계획 실현하겠다”
2016.04.13
재단’을 통해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재단 이사장은 피트 워든 전 미국항공우주국(
NASA
) 에임스연구센터장이 맡고 있다. 호킹은 이날 기자회견을 앞두고 각 언론사에 e메일을 보내 “지구는 멋진 곳이지만 영원히 지속될 수는 없다”며 “이르든 늦든 우리는 별들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 이번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
2016.03.28
가운데 하나를 ‘소머빌 크레이터’라고 명명했다. 아폴로 15호가 찍은 사진이다. -
NASA
제공 1835년 소머빌은 독일의 천문학자 캐롤라인 허셜과 함께 영국왕립천문학회 최초의 여성 회원으로 선출됐다. 소머빌은 ‘물리과학의 연관성에 대해’ 6판(1842)에서 천왕성의 공전궤도를 교란시키는 가상의 ... ...
포기는 없다. 눈앞 문제부터 해결해 살아남으라.
IBS
l
2016.03.03
지구에 있는 사람들과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하며 농담 따먹기도 한다. 이 통신 체계는
NASA
가 와트니 구출작전을 세우게 된 계기가 된다. 화성에서 살아나가는 과정 전부가 실제 과학 연구와 비슷해 송 연구원은 하이드라진과 플루토늄 등을 사용하는 마크 와트니의 과감성에 경의를 표했다. ... ...
중성미자 변신은 무죄
IBS
l
2015.11.16
검출기를 이용해 초신성 1987A에서 방출된 중성미자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
NASA
제공 중성미자는 수수께끼의 소립자로 ‘유령입자’라 불린다.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중성미자의 변신을 확인한 두 연구자에게 돌아갔다. 노벨상이 중성미자와 관련된 업적을 거둔 연구자들에게 수여된 것은 벌써 ... ...
”누구나 편리하게 위성자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자료 요청이 오더라도 그 나라에서 위성으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받으려면 꽤 불편했죠.
NASA
에서는 일종의 미러사이트를 만들어서 천리안 위성의 자료를 빠르게 받을 수 있게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유럽에서도 정지궤도 해색위성을 계획하고 있어요. 프랑스의 경우는 천리안 위성 개발에 ... ...
“통일전력협력에 관한 감동적 정책설계에 일조할 것”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4
통일, 남북통일에 기여할 수 있어 김호성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에서 야간촬영한 인공위성 사진을 보면 북한은 섬이다. 현재 북한의 전력설비는 남한의 1/20이고 그나마 설비가동률은 35%에 불과하다. 남한은 전력설비 93.2GW, 세계 10위권의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다.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