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사소한 부분에서라도 좌우 균형이 깨진다면 큰 일이 아닐 수 없다. 예를 들면 오른쪽
눈
을 잃어 애꾸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 보이지 않는 오른쪽에서 다른 동물의 공격을 당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동물이든 조금이라도 좌우 균형을 잃게 되면 살아남는 데 큰 지장을 받게 되는 것이다. 겉모습은 ... ...
OZ 풀코스 별자리여행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2권의 책으로 탄생했다. 우주와 밤하늘로 안내하는 책은 이미 여럿 나와 있지만 독자들의
눈
높이와 입맛을 만족시킨 책은 드물다. 안성천문대에서 오랫동안 일반인들과 호흡을 한 필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했다. 독자들이 밤하늘로 여행을 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차근차근 알려주고 ... ...
21세기 컨셉트 창조하는 산업디자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트럭을 결합시킨 복합형에다 최첨단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그러나 무엇보다
눈
에 띄는 것은 복고풍에서 스포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는 디자인이었다.21세기는 디자인의 시대.아울러 산업디자인에 대한 인기도 날이 갈수록 더하고 있다.산업디자인학이란 첨단과학 기술과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가장 아름다운 새 중 하나인 공작새에게 달아 주었다. 수컷 공작새의 펼쳐진 꼬리깃털이
눈
부시게 아름다운 것은 단지 이런 슬픈 사연 때문일까. 그렇다면 나비의 날개가 아름다운 것은 왜일까.상대성이론으로 유명한 아인슈타인은 1915년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만들었다.Rab -$\frac{1}{2}$ gabR = $\frac{8πG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브라키오사우루스, 타이타노사우루스의 콧구멍은 점점 올라가 머리 꼭대기
눈
구멍 사이에 놓여 있다. 이빨도 원시용각류에서는 잎사귀 모양이었으나 점점 진화해 카마라사우루스에서는 톱니모양의 돌기는 없어지고 숟가락 형태를 이뤘다. 이러한 이빨들은 더 진화해 앞 주둥이에만 생겨났고 ... ...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글을 남기는 곳이다. 방명록을 만들어두면 홈페이지를 들른 사람들의 반응을 한
눈
에 확인할 수 있어서 사이버 공간의 위력을 느낄 수 있다. 우선 트라이포드(www.tripod.co.kr/build)에서 ‘트라이포드 방명록’을 클릭한다. 새 방명록을 만들기 위해서는 http://members.tripod.co.kr/service/gb에 연결하면 자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가장 북쪽에 있는 1등성으로 알려진 카펠라다.오리온자리의 삼태성에서 왼쪽 아래로
눈
을 돌리면 어떤 별보다도 밝은 큰개자리의 1등성 시리우스에 머문다. 이 시리우스와 오리온자리의 베텔규스를 연결한 길이를 한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동쪽으로 더듬어 가면 그곳에 작은개자리의 ... ...
미리 가보는 2025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세기가
눈
앞에 펼쳐진다. 새로운 밀레니엄에 대한 기대가 한껏 부풀어 있는 요즘, 사람들의 관심사는 '과연 언제쯤 어떤 일들이 이뤄질까' 에 모아지고 있다. 달에 사람들이 살 수 있을까, 불치병은 없어지는가, 직장 생활은 어떤 형태로 변모될까, 감정있는 로봇은 등장할까 등 21세기의 숙제로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형성할 것이다.70년대 초반부터 서서히 태동하기 시작한 생물정보학은 오랫동안 별로
눈
에 띄지 않는 분야로 남아오다가 최근 들어 갑자기 큰 붐을 이루고 있다. 생물체와 이들이 이루는 생물계는 다른 무생물적인 대상에 비해 훨씬 더 '정보적'이다.하나의 생물체를 볼 때 DNA 속에 담겨진 정보에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연구주제와 방법들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바로 한국식 유전공학을 모색하던 권 교수의
눈
에 가장 먼저 띈 작물이 배추였다. 한국을 대표하는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는 한국식 유전공학에 가장 적격이었던 것이다.소리 없이 잎을 갉아먹고 순식간에 모든 배추밭을 쑥대밭으로 만드는 배추흰나방과 ... ...
이전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