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구할 수 있다. 우리들이
눈
앞에 있는 것의 거리를 알 수 있는 것도 뇌가 오른쪽
눈
과 왼쪽
눈
에서 보이는 것이 다른점을 이용해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별까지의 거리는 지구상의 두 지점의 관측을 통해서는 구할 수 없다. 별까지의 거리는 대단히 멀어 시차가 너무 작아 관측을 하더라도 그것을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있을 때 나타난다. 약 60mL이상의 장출혈이 있을 때 혈액이 위액에 의해 산화되면서
눈
으로 확인할 수 있는 흑변을 본다.붉은색 대변은 대장이나 직장, 그리고 항문에서 출혈이 있는 경우와 위나 십이지장에서 출혈이 너무 많을 때 혈액이 대변에 섞이면서 나타난다. 대변에 피가 묻어있는 상태를 잘 ... ...
목 비튼 채 통화하면 위험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한시간 이상 통화한 정신과 의사의 경동맥(頸動脈)이 파열됐다고 보고했다. 또 왼쪽
눈
이 일시적으로 보이지 않고, 왼쪽 귀가 웅웅거리며, 말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꼈다고 한다. 심지어 가벼운 뇌졸중 증세까지 보였다.쥐베르 박사는 이 정신과 의사를 조사한 결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 ...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글을 남기는 곳이다. 방명록을 만들어두면 홈페이지를 들른 사람들의 반응을 한
눈
에 확인할 수 있어서 사이버 공간의 위력을 느낄 수 있다. 우선 트라이포드(www.tripod.co.kr/build)에서 ‘트라이포드 방명록’을 클릭한다. 새 방명록을 만들기 위해서는 http://members.tripod.co.kr/service/gb에 연결하면 자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가장 북쪽에 있는 1등성으로 알려진 카펠라다.오리온자리의 삼태성에서 왼쪽 아래로
눈
을 돌리면 어떤 별보다도 밝은 큰개자리의 1등성 시리우스에 머문다. 이 시리우스와 오리온자리의 베텔규스를 연결한 길이를 한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동쪽으로 더듬어 가면 그곳에 작은개자리의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하지만 잘 사용할 줄 몰라서 그렇지 과학의
눈
은 아름다움을 더 많이 보여줄 수 있는
눈
이다. 중력은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에 작용하는 만유의 힘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다음 시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느낄 수 있을까.우리는 어디로 갔다가 어디서 돌아왔느냐 자기의 꼬리를 물고 뱅뱅 돌았을 ... ...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납득하기 어렵다”고 애리조나 대학의 아담 버로우 박사는 덧붙였다.만일 이 행성을
눈
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결론은 간단하다. 그러나 이는 극히 어두워 가시광선 영역으로는 볼 수 없거나, 혹은 은하수 부근 밝은 배경 속에 놓여있어 발견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버로우 박사는 차세대 ... ...
기후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지구가 점점 더워진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어느날 한파가 닥쳐온다. 하늘은 매일매일 다른 조화를 부린다. 푸른 하늘에 흰구름을 만들거 ... 그러면서 사람들의 체형과 생활방식, 그리고 기질도 변화시켰다. 이제 기후를 과학의
눈
으로 봐야 할 시간이다. 세상이 다르게 보일 것이다 ... ...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응결할 때는 물이 증발할 때 빼앗은 열이 방출된다. 따라서 찬바람이 부는 맑은 날보다
눈
오는 날이 더 포근하기 때문에 개울에서 빨래를 할 수 있다는 말이다.⑩해무리나 달무리가 나타나면 비가 온다해무리나 달무리는 높은 곳에서 만들어지는 구름인 권층운이 하늘을 전부 덮었을 때 나타난다. 이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CFC)다. 이 물질은 인간이 만든 것 중에서 제일 견고한 물질이다. 대부분의 물질들은 비와
눈
에 씻겨 지표에 떨어지는데, CFC는 성층권까지 올라갈 수 있으니 말이다. 아황산가스나 에어로졸 같이 공기 중에 투입됐던 오염 물질이 빗물에 잡혀 땅으로 되돌아 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적으로 10일을 ... ...
이전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