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33건 검색되었습니다.
교통 빅데이터 분석기술 개발한 엄진기 철도연 책임연구원 ‘이달의 과학기술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스마트시티와 부산 에코델타 시티 교통계획에 활용되고 있다. 관련 연구는 2020년 5월 국제
학술
지 ‘퓨처 제너레이션 컴퓨터 시스템즈’에 게재됐다. 엄진기 책임연구원은 “개발한 기술은 향후 재난대피, 관광 및 상권, 환경 및 질병 확산 영향 등 인간의 활동과 모빌리티가 연계된 다양한 분야에 ... ...
무엇이든 잡는 로봇손, 비밀은 손바닥
과학동아
l
2021.06.02
통해 기존의 로봇손이 해내지 못했던 동작을 가능케 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5월 12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126/scirobotics.abd2666 ... ...
다이아몬드가 밝힌 아프리카 땅의 나이
과학동아
l
2021.06.02
아니라 행성 진화의 비밀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467-021-22860-3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엉성함이 DNN의 드롭아웃에 해당한다. arXiv 제공 터프츠대 앨런발견센터 에릭 호엘 교수는
학술
지 ‘패턴’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런 이론들이 나름 꿈의 기능을 잘 설명하고 있지만 꿈의 현상적 본질에 대해서는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기능을 위해서라면 꿈이 이토록 황당할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06.01
집게처럼 써서 일정 범위 내에 가두는 방법으로 속도가 빠른 정보엔진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2023356118 정보엔진은 150년 전 영국 물리학자 제임스 맥스웰의 도깨비 사고실험에서 출발한 개념이다. 방문을 사이에 두고 온도가 같은 두 ... ...
화성 5만 년 전에도 화산 폭발,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여
과학동아
l
2021.06.01
동시에,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 역시 크게 높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행성과학분야
학술
지 ‘이카루스’ 온라인판 4월 21일자에 게재됐다. doi: 10.1016/j.icarus.2021.11449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초박막 리튬 음극 제조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10억 분의 1m) 두께의 아주 얇은 단일분자층을 검출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스몰 메소드’ 13일자에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융합기술학제학부 김승준 교수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시행하는 ‘2021년 XR 랩 지원사업’의 주관기관으로 ... ...
1997~2016년 한국에서 17만명 기후변화로 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732개 도시에서 기후변화로 열 질환으로 숨진 사망자의 원인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했다. 한국에서는 김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참여했다. 기후변화는 산불과 같은 극한기후와 연관된 직접적인 영향에서부터 감염병 확산 변화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훈트 금속의 새로운 존재 가능성 최초 증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한명준 KAIST 물리학과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한명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훈트 금속이라고 알려진 특이 양자 상태의 새로운 존재 가능성을 처음 증명 ... 작용인 ‘선택적 스플라이싱’의 영향을 받아 변하는 것을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핵산 연구’에 지난달 25일 실렸다 ... ...
서울대 ‘훌륭한 공대교수상’에 김선·이종호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5.31
218이다. 2017년에는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 소아이어티 학회장을 맡아 인공지능 관련
학술
대회인 ‘The AI KOREA’를 국내 최초로 개최하는 등 인공지능 관련 국내 생물정보학 연구를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김 교수는 현재 서울대 생물정보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이 교수는 ... ...
이전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