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개발에 결정적 기여한 英 방사광가속기…경제효과 2조9000억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부위를 다이아몬드를 이용해 3D로 정밀하게 촬영해 얻은 성과다. 지난달 19일 국제
학술
지 ‘셀’에는 영국 변이 바이러스(B.1.1.7)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수용체 결합 영역(RBD)에 나타난 유전자 변이 하나를 다이아몬드로 확인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미국 화이자 백신 접종자에게서 면역 회피가 ... ...
"사람 배아, 2주 이상 배양 허용해야" 줄기세포학회 새 가이드라인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물론 논쟁의 물꼬가 트일 전망이다. 2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등 과학 분야 주요 외신에 따르면 ISSCR은 인간 배아를 실험실에서 14일 이상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채택하고 발표했다. 1979년 처음 제안된 14일 룰은 영국과 캐나다, 한국 등 ... ...
현실은 3개월 더 사는데…국민들 "항암신약 건보 적용하려면 22개월 수명연장 효과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차이점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서포티브 케어 인 캔서’에 지난 8일 공개됐다. 왼쪽부터 강석범 국립암센터 암관리학과 교수와 한규태 암관리정책부 선임연구원. 국립암센터 제공 ... ...
인공지능이 우리은하 둘러싼 우주 속 암흑물질 지도 그렸다
연합뉴스
l
2021.05.27
천문연 포함 국제 공동 연구팀, 은하 간 실 가닥 구조 재현 성공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인공지능(AI)이 그린 우리은 ... 암흑 물질 정체를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천체물리학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전날 자에 실렸다. ... ...
[의학바이오게시판] 제1회 규제과학 혁신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예측 정확도는 73.8%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4월호에 공개됐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은 26일 ‘연세 혁신의료기기 실증지원센터 개소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센터는 연세대의료원 산하 강남세브란스병원,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김민경·소순애 석박사통합과정생, SPIE 광공학 장학금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김민경 기계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생(왼쪽)과 소순애 석박사통합과정생(오른쪽)이 지도교수인 노준석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와 기념촬영을 했 ... 위해 다양한 가공 조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설계 조건을 제시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에너지 화학 저널’에 지난달 22일 실렸다 ... ...
[과기원은 지금]원자력연-KAIST 방사성 물질 흡착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양희만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원과 최민기 KAIST 교수팀은 27일 우라늄 핵분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방사성 세슘과 스트론튬을 골라 ... 화학작용기를 끼워 넣어 기공 특성을 바꿀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매터’에 26일 공개됐다 ... ...
달콤하고 빨간 현대 수박의 조상은 아프리카 수단 ‘코도판 멜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세계적으로 수박 연구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이뤄지고 있다. 2013년과 2019년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유전학’에는 수박의 유전자 지도가 공개됐는데, 이 연구도 중국 연구진이 발표했다. 이 교수는 “한국 수박은 육종 기술을 이용해 세계에서 당도가 가장 높고 과육이 아삭해 인기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어설픈 전문가들의 억지에 흔들리는 사회
2021.05.26
환경공학을 전공한 원로 과학자가 자신이 편집하는 환경 분야의 과학논문인용색인(SCI)
학술
지에 발표한 논문에서는 어떠한 과학적 근거도 찾아볼 수 없다. 코로나19가 입을 통해서 감염되기도 한다는 명백한 과학적 사실도 철저하게 무시해버렸다. 일부 과학자들의 억지에 대한 적극적인 해명이 ... ...
"미국 백인보다 유색인종이 도시 열섬현상에 더 많이 노출"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흑인과 히스패닉, 아시아계가 더 열섬에 많이 노출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26일 공개했다. 열섬 현상은 도시화가 진행되며 난방 시설과 자동차열 등 사람의 영향으로 발생한다. 교외보다 보통 3~4도 높다. 열섬 현상은 도심의 대기질과 큰 연관이 있다 ... ...
이전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