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존 F. 케네디 암살범은 오스월드 맞다”2015.10.19
- 빛과 그림자의 방향을 고려해 사진과 동일한 모습이 되도록 모델을 제어하면서 인체공학적으로 가능한 자세인지 안정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사진은 조작된 것이 아니며 사진 속 소총은 암살에 쓰인 총과 같은 총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페이리드 교수는 “3D 디지털 모델링 기술은 평면적인 ... ...
- “상경대 출신 CEO가 못하는 걸 공학대 출신 CEO는 할 수 있습니다”2015.10.19
- 17일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열린 ‘주니어공학기술교실’에 참가한 이학성 LS산전 부사장,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 윤종용 ... 회장은 “우수한 인력이 공대로 오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며 “공학한마당 행사를 매년 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톡톡’과 ‘꾹꾹’ 압력 차이 구분하는 인공 피부 나왔다2015.10.18
- 사람의 손을 모방한 로봇 손가락 끝 인공 피부에 사람이 손을 내밀어 '터치'하고 있다. - 미국 스탠포드대 제공 사람의 피부처럼 압력을 ... 촉각 신호를 생쥐의 뇌에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 8월에는 조영호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팀이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전자피부를 개발했다. ... ...
- 환절기 독감 예방백신, 맞을까 말까2015.10.16
- ‘만능 백신(universal vaccine)’이 등장했지만 이 역시 완벽하지 않다.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만능 백신은 여러 독감 바이러스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표면 깊숙한 곳의 단백질을 공략한다”며 “이 부분만 공략해서는 바이러스가 제대로 무력화되지 않아 감염이 도리어 늘어난다는 ... ...
- “이차전지, 그래핀 등 UNIST 각인시킬 10개 분야 만들겠다”2015.10.16
- 우수한 레벨 1로 인정한다. 2018년에는 레벨 1의 기준이 상위 5%로 더욱 빡빡해진다. 컴퓨터공학 등 연구 분야별 특성을 고려해 산학 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실적 등도 평가에 반영한다. 정 총장은 노벨상 욕심도 많다. UNIST 캠퍼스 중앙에 자리 잡은 ‘가막못’이라는 연못에는 다리가 총 9개 있는데, ... ...
- “中, 제조 대국에서 강국으로 거듭날 것”2015.10.15
- 류 교수는 5월 중국 정부가 발표한 ‘중국 제조 2025’의 핵심 자문위원으로 한국공학한림원이 창립 20주년을 맞아 개최한 산업혁신 전략 국제콘퍼런스 연사로 참석했다. 최근 중국은 국내총생산(GDP)에서 연구개발비의 비중이 8%인 미국과 비교해 2%에 그친다는 점에서 혁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 ...
- 진짜 뇌 같은 뇌 팬텀, 3D 프린터로 출력2015.10.14
- 전기적 특성까지 똑같은 뇌 모형을 개발했다. 전성찬 광주과학기술원(GIST) 정보통신공학부 교수팀과 정의한 의료시스템학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뇌 자극 치료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는 뇌 모형(팬텀)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진은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찍은 뇌 구조를 토대로 3D ... ...
- “한국 과학계 너무 성과만 생각해… 새로운 아이디어 개척해야”2015.10.13
- 오히려 의미 있는 연구 성과를 내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적어도 생명공학 분야에서 만큼은 트렌드가 계속 변해왔다”며 “지금은 ‘크리스퍼(CRISPER) 유전자 가위’ 분야가 가장 주목을 받고 있지만 언제 주인공이 바뀔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 ...
- 오영호 회장 “브레인 게인(Brain Gain) 정책 추진해야”2015.10.13
- ‘공학혁신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마련한 산업혁신 4대 전략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공학한림원 측은 독일 ‘인더스트리 4.0’ 등 산업 선진국들이 전통적인 제조업에 사물인터넷 등 기술을 결합해 스마트화한 제조혁신에서 저성장 돌파구를 찾고 있다며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 ...
- 60배 더 잘 늘어나고, 470배 더 튼튼한 태양전지2015.10.12
- 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연구단의 김범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김택수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기존 유기태양전지에 사용되던 풀러렌을 고분자로 대체해 내구성을 기존 대비 470배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발전 효율도 함께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풀러렌이란 탄소원자가 5각형과 ... ...
이전7427437447457467477487497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