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6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 맛’ 넣어 차세대 발광소자 성능↑
2015.09.22
주목받고 있는 탄소 양자점의 성능을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이시우 포스텍 화학
공학
과 교수팀과 정문석 성균관대 교수팀은 공동으로 탄소 양자점의 표면을 개선해 색의 순도를 기존 OLED(유기발광체)와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자점은 화학 공정으로 만드는 ... ...
항균비누, 일반비누와 항균효과 차이 없어
2015.09.21
국내연구진이 항균 세정제의 세균 제거 능력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민석 고려대 식품
공학
과 교수팀은 일상생활에서 손을 씻는 정도로는 항균비누를 쓰든 일반비누를 쓰든 항균효과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항균화학요법저널(Antimicrobial Chemotherapy)’ 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비누와 ... ...
[영상] '마리텔' 김영만 아저씨의 1분 종이접기 강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21
지식이 종이접기를 하는 데 많은 도움과 영감을 준다”고 말했어요. 로버트 랭은
공학
지식을 이용해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종이접기를 활용하고 있다. - 위키미디어 제공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0월 1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게르마늄 썼더니 충전지 용량 4배나 커지네
2015.09.21
게르마늄/탄소전극으로 만든 리튬이온전지는 LED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밝혔다. - 전남대 신소재
공학
부 제공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오늘날 우리 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물 ... 탄소 음극 소재를 이용해 3차원 다공성 나노구조를 만드는 모식도 - 전남대 신소재
공학
부 ... ...
머리에 빛 쪼여 알츠하이머병 예방한다
2015.09.21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뇌질환이다. 박찬범 KA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팀은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바이오나노센터 연구진과 공동으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동물의 뇌 안에 응집되는 것을 막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진은 빛을 ... ...
알츠하이머병도 전염 될까?
2015.09.21
5년까지 세계(주로 유럽과 북미)에서 3만여 명이 인간성장호르몬 주사를 맞았다. 유전자
공학
기술이 나온 게 1970년대 후반인데 어떻게 1958년에 인간성장호르몬 약물이 있었을까? 바로 시체에서 추출한 것이다. 즉 시체 수천 구에서 뇌(정확히는 뇌하수체)를 모아 인간성장호르몬을 추출정제한 것. ... ...
인터스텔라는 해피엔딩… ‘마션’ 주인공은 지구 귀환 가능할까
2015.09.20
탐사대를 기다려야 하고, 그 기간까지 버틸 수 있을 만큼의 식량을 확보해야만 한다. 기계
공학
자인 동시에 식물학자인 와트니는 자신의 식물학 지식을 총 동원하는 동시에 ‘맥가이버’와 같은 재치로 화성의 살인적인 환경에 맞서 싸운다. 와트니의 싸움은 짧은 상영 시간에 쫓긴 영화 보다는 59 ... ...
접을 수 있는 고효율 태양전지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09.20
접거나 둘둘 말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박철민 연세대 신소재
공학
과 교수팀은 차세대 반도체 물질인 ‘티엠디(TMD)’를 이용해 유연한 수광(受光)소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티엠디는 여러 층이 달라붙은 절리(節理)구조 물질로 높은 ... ...
[2015 국정감사] 질책 앞서 모범 아쉬운 과학계 국회의원
2015.09.20
계속 쓰면서 AI(조류독감) 백신을 만들어내질 못하는게 말이 되느냐”고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장에게 질의했다. 피감자는 어디서부터 설명해야 좋을지 곤혹스러워하다 “바이러스는 변이가 심해 완전한 백신을 만들기는 어렵고 우리는 기초과학 연구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과학기술정책을 ... ...
데니스 홍 UCLA 교수 “생물학자와 손잡고 동물근육 지닌 로봇 도전”
동아일보
l
2015.09.17
있다가 떨어뜨렸다. 로봇
공학
자인 데니스 홍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기계
공학
과 교수가 달걀을 잡으려는 것처럼 화면 밑으로 달려들자 웃음이 터져 나왔다. 수술용이나 조립용으로 쓰이는 고가의 로봇 손과 달리 의수로 사용하기 위해 250달러(약 29만5000원)로 만들어진 로봇 손이었다. ... ...
이전
745
746
747
748
749
750
751
752
7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