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말했다.박병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의약품의 부작용 신고 건수는
미국
의 0.22%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국내서도 부작용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신고 체계가 이뤄져 약물의 위해성을 관리하는 역학 조사가 발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국내 약물 관리 수준을 업그레이드하기 ... ...
내 몸에 맞는 생체시계 공부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기는 계절성 우울증을 치료하는 데도 쓴다.“잠을 깨는 데는 푸른빛이 특효약입니다.”
미국
토머스 제퍼슨대의 조지 브레이너드 교수는 빛의 여러 파장 중 450~480nm에 해당하는 푸른색 빛이 멜라토닌 분비를 가장 잘 막는다고 2001년 ‘신경과학저널’에 발표했다. 브레이너드 교수팀이 새벽 2시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만들었다. 전지의 이름은 ‘박막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다. 연구 성과는 2011년 4월
미국
과학학술지 ‘엘렉트로케미스트리 커뮤니케이션’에 실렸다.전공을 뛰어넘어 다양한 공부해야연료전지는 다른 전지보다 효율이 좋을 뿐 아니라 오염물질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 ...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패자가 돼 승자가 위협요소로 인식하지 않게 하는 전략이 있다. 애비너시 딕시트
미국
프린스턴대 경제학과 교수는 게임이론을 소개한 ‘전략의 탄생’이란 책에서 이 전략을 ‘전략적 포기’라고 이름 지었다. 2000년 서바이버 첫 시즌에서 우승한 리처드는 딱히 장점이 없었다. 체력이 좋지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좋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밀물과 썰물 때의 물 높이차(조차)가 꽤 큰 지역이다.
미국
에너지부가 2009년 펴낸 ‘해양에너지 기술 개요’ 보고서에 따르면, 조력발전에 적합한 바닷물의 높이 차이는 최소 5m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2010년 11월 펴낸 보고서에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평균 물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설치하는 일이다. 17년의 준비 끝에(프로젝트가 중단될 뻔한 위기도 있었다)
미국
의 우주왕복선 인데버호가 AMS-02를 싣고 5월 16일 발사됐다.우주공간에서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우주선 입자를 고스란히 검출할 수 있다. AMS-02는 전하를 띤 우주선을 검출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는 물질 뿐 아니라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물 표면의 속도를 측정해 유량을 계산하는 기술이다. 우리나라는
미국
과 일본 등에 뒤이어 2005년부터 하천에 시험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카메라 3대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켰다. 댐에서 방류한 물의 양과 측정한 값을 비교해 보면 상당히 정확하다.이 외에도 김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끝난 사화산이라고도 했고요. 하지만 백두산은 사화산도, 휴화산도 아닌 활화산이랍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에릭 헤틀란드 박사는 1998년부터 2년 동안 백두산 지하에서 발생하는 지진파를 분석해 봤어요. 지진파는 암석이나 마그마처럼 어떤 물질을 통과하느냐에 따라 통과하는 속도가 ...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심판이다. 밴쿠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김연아의 연기를 심사했다. 이지희 심판은
미국
에서 수학을 공부한 경험이 있을 만큼 수학과도 인연이 있다. 이지희 심판에게 올림픽 에피소드와 피겨 점수체계에 대한 생각을 들어봤다.“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엔 우리 선수가 출전을 못해 저도 기회를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데이터가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유출됐다. 5월 2일
미국
물리학회총회에서는 우주를 지배하는 미지의 입자인 ‘암흑물질’ 때문으로 추정되는 특이한 관측자료가 발표됐다. 불과 20일 전인 지난 4월 13일, 다른 연구팀이 암흑물질은 없다는 정반대 결과를 낸 ... ...
이전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