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03
크기의 소행성 표면에 안착했다. 역사상 최초로 소행성에 착륙한 것이다. 주인공은
미국
의 소행성탐사선 니어-슈메이커. 니어-슈메이커가 안긴 소행성은 사랑의 신을 뜻하는 에로스였다.사실 니어-슈메이커는 착륙용으로 설계된 탐사선이 아니었고 이전에 소행성 착륙에 대한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03
어떤 나노물질을 만들었을까. 이를 통해 어떤 새로운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을까.1993년에
미국
MIT 화학과 바웬디 교수 연구팀이 카드뮴(Cd)와 셀렌(Se)으로 구성된 수nm 크기의 반도체 나노입자가 크기에 따라 색깔이 변화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것은 색이 물질 고유의 특성이라는 기존의 과학상식을 ... ...
인간게놈프로젝트 99% 완성
과학동아
l
200103
이에 버금하는 야심찬 계획인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드디어 완성됐다. 6개국으로 구성된 다국적팀과
미국
의 생명공학 벤처 셀레라가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해 인간의 게놈지도를 작성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새로운 세계를 여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를 낱낱이 살펴보자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03
으로 구성된 국제컨소시엄인 인간게놈지도작성팀(HGP, Human Genome Project 이하 다국적팀)과
미국
벤처기업인 셀레라 지노믹스사(이하 셀레라)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한 연구를 통해 인간게놈의 염기서열을 약 99% 정도 밝혀낸 것이다.한마디로 이번에 발표된 연구결과는 인간이라는 생명의 유전정보가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03
졸업1986년 서울대 화학공학과 졸업1987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생물화학공학 석사1991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생물화학공학 박사1992년-1994년 KAIST 생물공정연구센터 선임연구원, 군복무1994년-현재 KAIST 교수1996년 제1회 중한청년 학술상(공학부문) 수상1997년 한국과학기술원 학술상 수상1998년 제1회 젊은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
과학동아
l
200103
많은 논란의 대상이다.3 바이러스인가 단백질인가스스로 복제해 증식하는 전염물질1982년
미국
스탠퍼드대의 프루시너 교수는 양의 스크래피병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포유류와 새의 뇌세포 표면에서 해를 끼치지 않고 존재하다가 스스로 분해되는 ‘프리온’(Prion)이란 단백질을 ... ...
고기 익었는지 색깔로 판단하면 큰일
과학동아
l
200103
없이 색깔로만 익었는지 판단할 경우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미국
농무부농업연구소(ARS) 과학자들은 2월 2일 요리하기 전의 고기 상태에 따라 고기 색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보고서로 발표했다.브래드포드 연구팀은 햄버거용 쇠고기를 온도계 없이 갈색으로 변할 때까지 ... ...
새로운 차원 사냥에 나선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103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이 영역에서 중력을 측정하지는 못했다.그런데 최근
미국
워싱톤대의 에릭 아델버거 연구팀이 처음으로 0.2mm 떨어진 물체간의 중력을 측정했다. 이들은 2mm 두께에 지름이 55mm인 알루미늄 고리를 정교한 선에 매달고 자유롭게 돌 수 있도록 ‘비틀림 진자’를 만들었다.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03
수 없으며, 완벽한 칩의 제작은 불가능한지도 모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미국
HP사의 윌리엄스 박사는 결함을 허락하는 나노소자의 구성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에 의해 데이터 선의 작동 명령이 기억소자 부근에 저장되고, 명령은 중앙정보처리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결함을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
과학동아
l
200103
유전자를 찾아낸 진박사는 신경 기능과 관련된 모든 유전자를 찾아내기 위해 현재
미국
내 대학과 연구소 가운데 우수연구집단을 선택해 연구비를 지원하는 일을 맡고 있다.진박사는“인간의 신경 및 행동 패턴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기능은 매우 복잡해 게놈프로젝트에서도 가장 어려운 ... ...
이전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7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