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04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03
Time Domain Reflectometer)이 들어 있다. 이것이 바로 통신 네트워크 검사 장비다. RTD-1000은 수
나노
미터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 파장 범위의 전자파를 일정한 간격으로 상수도관 표면에 쏜다. 짧은 파장은 가까운 거리, 긴 파장은 먼 거리로 전달돼 반경 수km까지의 상수도관 네트워크를 모니터링 할 수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03
거대로봇을 만들 수는 없으나, 항복 강도 2GPa(기가파스칼)을 훨씬 넘는 비정질 금속, 탄소
나노
튜브 같은 소재들은 일부 개발된 상태다. 상대의 강한 공격에 태권V가 손상을 입어 표면이 파괴됐다면 금속에 강도가 우수한 세라믹을 겹겹이 끼운 세라믹 복합 장갑이나 ‘세라믹+탄소 섬유 복합 장갑’일 ... ...
호박에 줄그어 수박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03
있다. 분자 자체가 움직이는 시간은 아무리 빨라도 마이크로초 정도. 메모리로 쓰려면
나노
초나 피코초 단위로 짧아져야 한다.그래서 연구단이 더욱 주목하는 응용 분야는 분자기계. 쿠커비투릴 초분자는 결국 외부에서 자극을 줬을 때 스스로 움직이는 작은 기계다. 분자만한 미세한 스케일에서 그 ... ...
2. 거대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03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먼저 재질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이 급선무이다.
나노
기술을 이용한 다공성 재질과 초고강도섬유 복합재료 또는 초합금 등을 채택해 재료의 무게(비중)를 1/5 이하로 줄인다. 구조적으로는 강성 위주의 설계보다 우주왕복선의 로봇팔과 같은 유연한 구조를 갖도록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02
매년 초면 카지노와 오락의 도시로만 알려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세계 산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IT기술 무한 경쟁의 장인 ‘국제가전 ... 석권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를 위해 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초정밀
나노
기술의 융합체인 광정보저장기기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02
돌아가면서 빛을 낸다는 사실을 밝혔다.1995년부터 김 교수는 ‘스피드’를 높였다.
나노
에서 피코, 펨토까지 수년 새 시간을 100만배나 단축했다. 1997년 창의연구단을 시작할 때는 과학자들에게도 생소했던 펨토초 연구를 이제는 꽤 ‘대중적’으로 만들었다.김 교수는 “이 분야가 결코 대중적인 ... ...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02
그녀의 실험은 반도체 기술과 만나면서 참신함을 더한다.ICU디지털미디어랩이 만든 ‘
나노
로봇’은 공기처럼 우리 주변에 퍼져있을 미래의 로봇을 잘 형상화하고 있다. 사람의 움직임과 소리에 반응하는 작은 로봇들을 천정에 가득 매달아 놓은 이 작품은 인간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기를 꿈꾸는 미래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02
김 교수는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여건이 허락한다면 군사용으로 대형 로봇 물고기와
나노
기술을 활용한 교육용 소형 로봇 물고기를 모두 개발할 생각”이라고 밝혔다.가장 큰 난제는 연구 인력과 연구비 부족이다. 김교수는 “선진국에서는 로봇 물고기 하나를 개발하기 위해 수억원을 쓰는 것이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01
02_세계 최초 50
나노
16기가 낸드플래시 메모리 개발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50
나노
(1
나노
는 10억분의 1m) 공정기술을 적용한 16기가비트급 낸드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성공했다.03_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부지 선정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방폐장) 부지로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가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01
작업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과학동아는 한국 과학저널리즘을 주도했다.생명과학과
나노
과학이 21세기 최고의 과학으로 떠올랐다. 생명과학은 새로운 이슈를 계속 쏟아냈다. 여러 차례 인간게놈프로젝트 특집이 나갔으며 ‘코리안게놈프로젝트’(2002.11), ‘복제인간’(2003.1), ‘복제인간,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