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모꼴
트라이앵글
삼변형
세모
d라이브러리
"
삼각형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02
있고, 조금더 움직여 가면 흐릿하게 보이는 별무리인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볼 수 있다. 역
삼각형
윗변의 북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서 나란히 빛나고 있는 1등성들은 쌍둥이자리의 1등성인 카스토르와 폴룩스다 ... ...
4. '혼돈의 언어' 프랙탈이란?
과학동아
l
199401
Koch curve)이라 부른다(그림2). 이 도형은 둘레길이는 무한히 늘어나면서 일정한 공간(처음
삼각형
에 외접하는 원)은 벗어나지 않는다. 물론 서로 교차하지도 않는다. 한마디로 유한한 면적 내에 무한한 길이가 포함돼 있는 것이다.여기서 프랙탈 차원의 유용성이 다시 한번 드러난다. 면적은 2차원이고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01
베텔규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가 하늘에서 이루는 기하학적 모양을 우리는 겨울철의 대
삼각형
이라 부르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별자리를 찾게 된다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12
시도가 그려져 있다. 그는 달의 위상이 정확히 반달일 때는 태양과 달과 지구가 직각
삼각형
을 만든다고 가정하고 반달일 때 그 각도를 측정, 87도를 얻고 태양까지의 거리는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의 19배라고 계산했다. 그러나 실제는 이보다 커서 3백80배이지만 이것은 당시 관측의 정밀도에서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12
미리 준비하고 있다면 서쪽하늘에서 적경이 약 19시인 별부터 볼 수 있다. 즉 여름철의 대
삼각형
을 이루는 것 중 거문고자리의 베가(직녀별)는 이미 져버렸지만 독수리자리나 백조자리는 관측이 가능하다. 이처럼 겨울의 서쪽하늘에서 여름의 별자리를 보고 그뒤를 따르는 가을 겨울의 별자리를 계속 ... ...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11
적어도 현실적인 쓰임새만을 생각해왔다면 지금처럼 발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삼각형
의 두변의 길이의 합은 다른 한변의 길이보다 크다.'이 사실은 누구든 금방 알 수 있다. 하지만 지적 인간이 동물과 다른점은 증명을 해야만 직성이 풀린다는 것이다. 증명을 한다는 것은 보편성을 얻자는 것이며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
과학동아
l
199310
떨어진다는 판단을 하고 좀더 과학적인 분석 방법을 찾았다. 기존의 방법은
삼각형
안에(
삼각형
을 구성하는 별 4개 포함) 별이 9개 보인다면 극한등급이 8등급이 되고(성도와 비교해보면 8등성까지 관찰이 가능하다는 의미), 이 결과를 토대로 별의 등급에 따른 밤하늘의 어둡기를 측정하는 것(별은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10
집 뒤에 있는 동산을 산책할 때 직선으로 가는 것이 한 번 꺾어서 가는 것보다 가깝다(
삼각형
의 두변의 합은 항상 나머지 한변보다 크다)는 사실뿐이었다는 말은 유명하다. 실제 생활과 거리가 먼 쓸데없는 과학지식을 많이 가르칠 것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쓰임이 있는 과학과 기술을 많이 가르쳐야 ... ...
공해로 사라진 밤하늘, 꿈과 낭만의별하늘로 되살리자
과학동아
l
199309
여름밤 별자리'. 우리에게 익숙한 직녀 견우별과 백조자리의 데네브가 이루는 여름철
삼각형
을 중심으로 여름밤의 별들을 손쉽게 관측하는 방법 등이 소개됐다. 맨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견우별이 위치한 독수리자리의 겨드랑이 에타별에는 우리나라 천문학박사 1호(1926년 미국 미시간 대학에서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08
볼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이중성이다. 백조자리의 머리를 이루는 별로서 여름의 대
삼각형
중앙에 위치한다. 분리각이 34초나 되기 때문에 아마추어가 갖고 있는 어떤 망원경으로도 쉽게 분해하여 황금빛과 하늘색을 띠는 아름다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M57고리성운이라는 별명을 가진 이것은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