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모꼴
트라이앵글
삼변형
세모
d라이브러리
"
삼각형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09
바로 남동쪽에 염소자리(Capricornus)의 희미한 별들이 있다. 염소자리는 커다란 역
삼각형
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3등성을 넘어서는 별은 하나도 없다. 독수리자리에 가장 가까이 있는 별은 알게디(Algedi)인데 이것은 '염소'를 뜻한다. 이 별자리의 가장 밝은 별은 데네브 알게디(Deneb Algedi, 염소꼬리, 2.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09
의하면 $\frac{sinθ}{n-1}$=$\frac{sin(2θ)}{n+1}$=$\frac{2sinθ cosθ}{n+1}$ 즉 cosθ=$\frac{n+1}{2(n-1)}$ 또
삼각형
의 코사인(cos)공식에 의하면 cosθ=$\frac{n²+(n+1)²-(n-1)²}{2n(n-1)}$ 윗 식에서 cosθ=$\frac{n+1}{2(n-1)}$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09
놓고 여러 부분을 비교하려 했으나 미세한 차이라 객관적으로 인정하기 어려웠다.
삼각형
안의 별을 세서 극한등급을 비교 했으나 사진으로는 광공해에 따른 바탕색 차이와 전체적인 별의 개수밖에 비교할수 없었다.다음으로는 도심과 근교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를 사진으로 보여주는 것이 ... ...
은하수를 건너는 배
과학동아
l
199208
안된 일이다. 이달의 별견우(牽牛, Altair, α Aql, 0.8등급)견우는 여름철의 대
삼각형
별들 중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별이다. 이 별의 밝기는 직녀와 데네브의 중간정도이다. 밝은 별인데도 이 별은 매우 가까운 16광년의 거리에 있다. 견우는 백색의 주계열별로 태양보다 1.5배 정도 크며 11배나 더 밝다 ... ...
바늘구멍 하나가 세계를 바꾼다
과학동아
l
199205
처음 만든 일본의 다케오는 의장 하나로 세계 꽃병시장을 지배했다. 다케오는 원형을
삼각형
으로 바꾸었을 뿐이었다.세계적인 만년필 황제로 불리었던 파카의 만년필도 직각형 만년필대를 유선형으로 바꾼 의장 하나에서 시작됐다. 또 미국의 페인타부부는 병뚜껑이 부실해 상한 소다수를 먹고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04
만들고 있다. 북두칠성의 빼어난 모습과 그 아래 세 개의 밝은 별이 만드는 '봄철의 대
삼각형
'만이 봄밤의 길잡이답게 유난히 반짝이고 있으며, 그 중간 중간에는 작고 아기자기한 별들이 새봄 새순처럼 소담한 아름다움을 담고 피어나 있다. 거지의 밥그릇봄철의 밤은 포근해지기 시작한 바람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03
앉아 있는 사자의 앞부분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서쪽 뒷편으로 2등성과 3등성의 별들이
삼각형
을 이루며 보이는 것이 바로 사자의 뒷부분이다. 아주 그럴듯한 모습의 사자이다.사자자리는 황도 12궁중 제 5궁에 해당한다. 수천년전, 하지에 태양이 이곳에 이르게 되면 여름의 폭염이 시작됐기 때문에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02
주위를 공전하는데 그 주기는 50년이다.이달의 집중탐구/외뿔소자리의 보물겨울철의 대
삼각형
안에는 희미한 은하수의 별들 속에 눈에 띄지 않는 작은 별들이 외뿔소란 이름의 별자리로 불려지고 있다. 이 별자리는 다소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4등급 이상의 밝은 별은 하나도 가지고 있지 ... ...
루마니아
과학동아
l
199111
사실 이 평야는 유럽에선 유일하게 자연적으로 형성된 삼각주인데 얼핏 보면 이등변
삼각형
모양이다. 이 삼각주의 총면적은 5천6백40㎢에 달한다고 한다.유럽에서 가장 젊은 지층에 속하는 다뉴브삼각주는 루마니아 안에서 고도가 가장 낮은 곳이다. 이곳의 기후조건은 동식물이 서식하는데 매우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11
페르세우스자리를 가로 질러 서쪽 지평선으로 호를 그리고 있다. 여름철의 대
삼각형
은 못내 아쉬움을 남기며 서쪽 산등성이 아래로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페가수스 사각형은 여전히 남서쪽 하늘 높이 올라와 가을 별들의 길잡이가 되고 있다. 정남쪽으로는 뚜렷하게 밝은 별이 없는 공허한 하늘에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