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적혈구 표면에 붙은 항원의 종류에 따라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뉜다. AB형을 제외한 나머지 혈액에는 다른 타입의 혈액에 대한 항체가 들어있어, A형이 B형에게 혹은 O형에게 수혈할 경우 혈액이 응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원리는 1901년 오스트리아 의사 카를 란트슈타이너에 의해 밝혀졌다.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절반은 5500만 년 전에 처녀자리 A 은하라는 곳에서 존재했던 문명의 꿈 속에서 태어났어. 나머지 절반은 12만 년 전 안드로메다 은하라는 곳에서 존재했던 문명의 꿈 속에서 태어났고. 둘은 2000년 전에 만나 교접하고 섞여 하나가 됐지. 밀로그리드의 짐승들과 그 주인들은 더 먼 곳에서 왔는데 우린 ... ...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었다. 추가 세수의 60%는 연구 투자, 20%는 금연사업 시행, 15%는 관련 시설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법규 집행 및 관리에 쓰겠다고 명시했다. 이 법안은 담배회사의 로비로 주민 투표에서 찬성 49.8%, 반대 50.2%로 입안이 무산되긴 했지만, 계획은 고사하고 세수의 사용처조차 불분명한 우리나라와는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를 꿈꾸며 강한 동기부여가 된상태(시작)는 목표 달성 과정에서 지극히 일부일 뿐이다. 나머지 대부분의 시간은 목표를 위한 지루한 시간인데 장밋빛 미래에 취한 사람들은 이를 잊기 쉽다.‘어떻게든 되겠지’라는 막연한 낙관이나 근거 없는 자신감도 도움이 안 되긴 마찬가지다.장애물을 ...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제1a형 초신성은 쌍으로 이뤄진 별 중 하나가 나머지 별(동반성)의 물질을 받아 폭발하는 초신성으로, 백색왜성과 적색거성의 상호작용에 의해 폭발한다는 것이 기존의 가설이었다.연구팀은 호주의 ‘이상각 망원경’으로 지구로부터 8000만 광년 떨어진 은하에서 제1a형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분명한 기능을 수행하게끔 설계된 생물학적 적응들은 우리 주변에 널렸다. 너무 흔한 나머지 우리는 그것들이 얼마나 탁월하게 설계됐는지 그 진가를 종종 잊는다.일례로 손을 살펴보자. 그리스의 의사였던 갈레노스는 사람의 손은 사물을 조작하는 도구로 그야말로 완벽하게 설계됐다며 입에 침이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크릭 연구소의 ‘노른자’ 위치 때문에 오히려 문제가 생겼다. 교통이 너무(?) 좋은 나머지, 연구소 바로 옆에 광역철도 ‘크로스레일’ 2호선 공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개통 예정인데 벌써부터 공사 현장으로부터 전자기파가 감지돼 실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 ...
- 대기와 태양이 만드는 변화무쌍 날씨와 계절!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지역의 경우 봄과 가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져요. 하루의 절반은 태양빛을 받고, 나머지 절반은 어둠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여름에는 태양빛을 받는 시간이 훨씬 길어져요. 또 태양의 고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같은 시간 동안 받는 태양에너지의 양이 봄이나 가을에 비해 ... ...
- 과학뉴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어때요?비둘기는 빨라야 대장새들은 단체로 이동할 때 자신들의 대장을 맨 앞에 세우고 나머지가 그 뒤를 따라가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요. 그동안 새들의 단체 행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지금까지 어떤 새를 대장으로 세우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요.영국 옥스포드대학교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부르기도 하는 닭의장풀은 예쁜 파란색 꽃을 피워요. 꽃잎 두 개는 큼지막한 반면, 나머지 한 개는 좀 작지요.린네는 이 모습을 보고 자신과 같은 시기에 활동한 식물학자들을 떠올렸어요. 당시 코멜리나(Commelina)라는 이름을 가진 세 명의 식물학자가 있었는데, 안타깝게도 둘만 유명했거든요. 참고로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