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임무를 수행하면서도 서로 다른 명령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죠. 또 10대중에 5대는 임무A, 나머지 5대는 임무B를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 눈에는 하나의 시스템이 내린 명령에 여러 대의 드론이 동시에 제각각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공현철 박사는 “우리가 컴퓨터 한 ... ...
- [스토리텔링 교과서 뛰어넘기] 화합과 평화의 상징, 원형 탁자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원형 탁자의 경우(그림➋) 이웃한 두 사람 사이의 거리는 모두 같다. 게다가 어떤 사람이 나머지 사람을 바라보는 시야도 모두 같다. 이때 원탁에 둘러앉은 사람을 점으로 가정하면 두 사람 사이의 거리는 ‘현’이고, 어떤 사람이 두 사람을 선택해 바라보는 각은 ‘원주각’이다(그림➌). (단,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거위벌레도 살고 있다. 거위벌레과의 곤충 중에 잎사귀 재단 기술자는 절반에 불과하고, 나머지 절반은 요람 만들기 기술이 없다. 자식을 돌보는 모성애가 부족한 걸까. 그렇지 않다. 요람을 만들지 못하는 도토리거위벌레에게는 다른 재주가 있다. 단단한 도토리에 구멍을 뚫어 알을 낳는 실력이다.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내용의 수준 측면에서도 초등학교 입문 수준인 대부분의 수학책보다 높다. 순환소수, 나머지 정리, 합동식, 수열, 지수법칙 등 간단한 수론이 담겨 있고, 그 증명과 이를 요구하는 문제도 있다.또한 이상설은 1895년부터 1896년까지 성균관장을 역임하면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최초로 수학과 과학을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강한 모래 바람에 휩쓸려 날아가다가 화성상승선으로 가던 한 사람을 치고 말았다. 나머지 대원 다섯 명은 끝내 부상당한 한 사람을 구하지 못하고 화성상승선에 올라탔다. 결국 화성상승선은 대원 다섯 명을 태우고 떠난다.그런데 화성에 남은 한 사람이 운 좋게 살아남았다. 그는 상처를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기억해야 할까?#7 잠깐, 그럼 이제 파브르를 기억할 필요가 없다는 말인가요? 마음이 급한 나머지 대화에 불쑥 끼어들고 말았다. 아차…, 곤충학자들의 눈에 황당해하는 빛이 역력하다. 그래도 애써 침착함을 유지하는 인내심을 보니 역시 파브르의 후예답다. B가 입을 열었다.“그건…, 아니죠. ... ...
- [Knowledge] 금속 유물에 숨결을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세계에서 부식에 자유로운 것은 귀금속으로 분류되는 금과 은, 일부 청동 정도”라며 “나머지 금속은 모두 안정된 자연 상태(산화물)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출토된 금속 유물을 보다 잘 보존할 방법은 없을까요. 다행히 부식을 최대한 늦추는 방법이 있습니다. 철의 경우, ... ...
- [과학뉴스] 테트리스가 만병통치약?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욕구와 그 강도에 대해 기록하게 했다. 이 중 15명은 기록 전에 3분 정도 테트리스를 했고 나머지는 하지 않았다. 실험을 일주일 동안 지속한 뒤 결과를 비교하니, 테트리스를 한 참가자들이 하지 않은 참가자들에 비해 음식, 커피, 수면 등에 대한 욕구가 평균 13.9%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안드라데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기술하는 미분방정식은 대부분 편미분방정식(PDE)이다. 편미분이란 특정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를 상수로 가정하고 미분하는 방법이다.물리학에 미분방정식을 처음 접목한 과학자는 뉴턴이다. 그는 1687년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운동을 미분방정식으로 적었다. 1 ... ...
- [수학뉴스] 개미 떼를 이끄는 리더 개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따라간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만약 장애물이 나타나면 리더 개미가 신호를 보내고, 나머지가 방향을 틀어 장애물을 피해 갔습니다.연구팀은 개미 개체 수와 집까지의 거리 등 여러 변수를 적용해 개미 떼가 함께 힘을 합쳐 먹이를 옮기는 것에 대한 수학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개미가 약 2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