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사] 신경 구조를 밝힌 라몬 이 카할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없다는 얘기에 포기한 적이 있었어요. 다행스럽게도 그의 재능이 신경 세포 연구에서
빛
을 발한 것이죠. 카할은 탁월한 염색법과 날카로운 눈으로, 골지의 주장과는 달리 각각의 신경 세포가 서로 떨어져 있다고 주장했어요. 이것이 바로 ‘뉴런 이론’이죠. 이후 신경학자들은 망상 이론과 뉴런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촬영하고 있습니다. 원시행성계 원반에서는
빛
의 일종인 적외선이 나오기 때문에 그
빛
을 포착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망원경에 달아 사진을 찍는 것이죠. 하지만 다른 천체에서도 적외선이 나와 다양한 분석을 해야만 비로소 원시행성계 원반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습니다.이를 위해 먼저 사람이 ... ...
[한페이지 뉴스] 차세대 태양전지, 우주 테스트 성공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위치에서도 지구 표면에 반사된
빛
만으로 전력을 생산했다.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는
빛
을 직접 받아야만 발전이 가능했다. 차세대 태양전지 소자는 로켓이 발사될 때 발생하는 열과 우주 자외선 등에도 안정적으로 견뎌내며 총 7분 동안 전력을 생산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들의 수명과 안정성을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부르기도 한다. 반타블랙이라는 명칭은 2014년 영국 기업인 서레이나노시스템스가
빛
반사율이 0.045%인 신소재를 개발하며 반타블랙이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반타블랙 소재는 현재 우주망원경이나 태양전지, 자동차 등에 유용하게 쓰인다. 하지만 아직은 안정성 면에서 다소 ...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소설입니다.”과학기술은 우리 삶의 중심에서 엄청난 변화를 야기했다. 전구가 있었기에
빛
이 없는 야간에도 활동할 수 있었고, 배와 비행기가 있었기에 서로 다른 대륙의 생물들이 오가기 시작했다. 변화의 결과가 반드시 좋은 건 아닐지라도, 과학기술은 인간 활동과 시대상에 극적인 변화를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방법을 찾아냅니다. 그리고 그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를 시작합니다. “
빛
이 있으라!” ●두 번째 유모 ‘두 번째 유모’는 우리나라 SF작가인 듀나의 단편소설입니다. 듀나는 1990년대부터 활동해 온 대표적인 한국 SF작가죠. 여기서 소개하는 두 번째 유모는 다른 작가들과 함께 낸 ... ...
섭섭박사에게 도전장이 날아왔다! 코딩로봇 ‘지니봇’으로 한 판 승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검정색은 대부분의
빛
을 반사하지 않고 흡수하기 때문에, 지니봇 바닥에 있는
빛
센서가
빛
을 쏘아 되돌아오는 양이 적으면 지니봇이 검정색 선이라고 알아챈답니다.섭섭박사님은 먼저 지니봇을 ‘기울기’ 카드에 접촉시킨 뒤 오른쪽, 왼쪽, 앞쪽 등으로 기울였어요. 코딩 카드 중에도 ‘앞으로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있다. 아리랑 5호의 영상레이더는 마이크로파를 쏜 뒤 지표에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과
빛
의 세기 변화로 지표면의 높이나 특성을 계산한다. 이런 식으로 영구동토층에 생긴 수 mm의 변화까지 잡아낸다. 인공위성으로 알아낸 지표 변화 데이터는 동토층 아래에 얼어있던 물과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3세대 DNA 해독 기술의 위력이
빛
을 발했다. 김
빛
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은 미니온 장비로 코로나19를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RNA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독해 국제학술지 ‘셀’ 5월 14일자에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반사돼 위성으로 들어오는
빛
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붉은색과 근적외선 영역의
빛
을 반사시키는 배설물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인공위성으로 펭귄의 배설물을 찾고 서식지를 확인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서식지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서다.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는 펭귄 생태계에도 영향을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