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3세대 DNA 해독 기술의 위력이
빛
을 발했다. 김
빛
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은 미니온 장비로 코로나19를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RNA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독해 국제학술지 ‘셀’ 5월 14일자에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방법을 찾아냅니다. 그리고 그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를 시작합니다. “
빛
이 있으라!” ●두 번째 유모 ‘두 번째 유모’는 우리나라 SF작가인 듀나의 단편소설입니다. 듀나는 1990년대부터 활동해 온 대표적인 한국 SF작가죠. 여기서 소개하는 두 번째 유모는 다른 작가들과 함께 낸 ...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열이 느껴져요. 또 불꽃이 타오르면서 주변이 밝아지지요. 이처럼 어떤 물질이 열과
빛
을 내며 타는 현상을 ‘연소(燃燒)’라고 해요.연소가 일어나기 위해선 일단 불에 탈 물질이 있어야 해요. 양초가 바로 불에 탈 물질이지요. 연소 반응은 불에 타는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면서 일어나기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자료[1]과 마찬가지로 과거에 촬영한 사진에는 없지만 최근 촬영한 사진에는 밝게
빛
나는 새로운 물체가 있습니다. 이 사진 속 물체가 초신성이 아니라는 것을 사람은 궤적을 보고 쉽게 알 수 있죠. 하지만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자료[1]과 자료[2]의 차이를 잘 구분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수많은 ... ...
to MARS # 생명체의 흔적을 찾아서 우리가 화성에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최대 2.5AU까지 늘어난다. 신호가 움직여야 하는 거리가 5AU까지 늘어나는 셈이다.
빛
이나 통신용 신호가 오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40분이 훌쩍 넘는 거리다. 화성에 보낸 우주선을 운영하려면 이런 시간의 지체까지 계산해야 한다.화성의 공전 주기는 지구 날짜로 2년이 조금 안 되는 687일(약 1.88년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돌고 있는 궤도선에 신호를 보내면 궤도선과 지구가 교신합니다. 물론 이 모든 통신은
빛
이 화성에서 지구까지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있어 지연이 발생한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겠죠. 6. 우주복이유 : 튼튼한 우주복으로 몸을 보호하려고전인수 : 화성에 갈 때 우주복은 필수입니다. 화성의 여러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않는다. 최경식 순천향대 서울병원 안과학교실 교수는 “동공이 혼탁하면 밖에서 들어온
빛
이 망막 뒤쪽에 시신경이 모여있는 황반에 맺히지 않아 사물을 제대로 인지할 수 없다”며 “좀비의 동공 상태만 보면 실명에 가까운 수준으로 사물을 분간하지 못 해야 하는데, 좀비가 사람을 명확하게 ... ...
[인터뷰]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 김민형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세상을 인식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본다는 것은 눈으로 들어온
빛
이 시신경을 자극하고, 거기서 생겨난 전기 신호가 뇌로 흘러가서 각종 계산을 한 결과입니다. 손으로 만져서 느껴지는 감촉도 마찬가지죠. 결국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은 정보를 통한 계산 결과라고 할 수 있는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관객의 동작을 인식해 그 움직임에 맞춰
빛
이 왜곡되도록 만들었죠.파장을 표현한
빛
이 자연스럽게 왜곡될 수 있도록 양 작가는 ‘펄린 노이즈 알고리듬’을 활용했습니다. 펄린 노이즈 알고리듬은 1980년대 켄 펄린 미국 뉴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지형이나 눈 같은 자연 현상을 현실감 ... ...
[과학뉴스] 3.5밀리초만에 물체 피하는 드론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마이크로초 단위의 짧은 시간 동안
빛
의 변화가 있는 픽셀만을 감지해요.만약, 픽셀의
빛
의 세기가 변하면 변한 부분만을 컴퓨터에 바로 전송해요. 컴퓨터는 이 이미지를 분석한 뒤 반응하지요. 그 결과 물체를 피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거예요.연구를 이끈 취리히대학교 다비드 스카라무짜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