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방법을 찾아냅니다. 그리고 그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를 시작합니다. “
빛
이 있으라!” ●두 번째 유모 ‘두 번째 유모’는 우리나라 SF작가인 듀나의 단편소설입니다. 듀나는 1990년대부터 활동해 온 대표적인 한국 SF작가죠. 여기서 소개하는 두 번째 유모는 다른 작가들과 함께 낸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부르기도 한다. 반타블랙이라는 명칭은 2014년 영국 기업인 서레이나노시스템스가
빛
반사율이 0.045%인 신소재를 개발하며 반타블랙이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반타블랙 소재는 현재 우주망원경이나 태양전지, 자동차 등에 유용하게 쓰인다. 하지만 아직은 안정성 면에서 다소 ... ...
수만 대의 군집 위성에 천문학자들이 화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위성은 우주의 날파리? 천체 망원경으로 잘 보이지 않는 어두운 별 사진을 찍을 땐
빛
을 많이 모으기 위해 짧게는 수십 초, 길게는 몇 시간 까지도 셔 터를 열어두고 밤하늘의 사진을 찍는다. 하지만 셔터를 열어 둔 동안 망원경이 찍고 있는 하늘 위로 위성이 지나가면 이 사 진처럼 흰 줄무늬가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관객의 동작을 인식해 그 움직임에 맞춰
빛
이 왜곡되도록 만들었죠.파장을 표현한
빛
이 자연스럽게 왜곡될 수 있도록 양 작가는 ‘펄린 노이즈 알고리듬’을 활용했습니다. 펄린 노이즈 알고리듬은 1980년대 켄 펄린 미국 뉴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지형이나 눈 같은 자연 현상을 현실감 ... ...
to MARS # 생명체의 흔적을 찾아서 우리가 화성에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최대 2.5AU까지 늘어난다. 신호가 움직여야 하는 거리가 5AU까지 늘어나는 셈이다.
빛
이나 통신용 신호가 오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40분이 훌쩍 넘는 거리다. 화성에 보낸 우주선을 운영하려면 이런 시간의 지체까지 계산해야 한다.화성의 공전 주기는 지구 날짜로 2년이 조금 안 되는 687일(약 1.88년 ... ...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설치된 LHC는 드브로이의 공식에 따라 둘레 27km의 거대한 원형 가속관을 따라 양성자들이
빛
에 가까운 속도로 돌다가 충돌해 우주 초기에 만들어진 입자를 만들어내고 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LHC에서 충돌을 일으키는 입자는 양성자가 아니다. 양성자 빔의 에너지가 충분히 크면 양성자가 업(위)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돌고 있는 궤도선에 신호를 보내면 궤도선과 지구가 교신합니다. 물론 이 모든 통신은
빛
이 화성에서 지구까지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있어 지연이 발생한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겠죠. 6. 우주복이유 : 튼튼한 우주복으로 몸을 보호하려고전인수 : 화성에 갈 때 우주복은 필수입니다. 화성의 여러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이야기가 포함돼 있었다. ‘이걸 하면 되겠다!’ 그 순간 머릿속에서 한 줄기
빛
이 번쩍였다. 현대 천문학은 첨단 기술 덕분에 관측 능력과 컴퓨터 연산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며 발전하고 있다. 이 분야로 뛰어들면 공학적인 취미를 충족시키면서 과학 연구까지 해나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
[만화뉴스]생선 비늘로 만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높고, 표면 거칠기가 낮은 장점이 있어요. 또, 유연해 1000번 이상 굽혔다 핀 후에도
빛
을 낼 수 있었지요. 장점은 또 있어요. 연구팀이 만든 필름은 60℃의 약간 뜨거운 물에 3분 안에 녹아 재활용 할 수 있고 땅에 묻으면 24일 안에 완전히 분해됐지요. 플라스틱을 사용해 분해되기까지 몇백 년이 걸리는 ... ...
[수학뉴스] 태양
빛
예측해 발전 효율 높인다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MCM) 모형’을 이용해 일조 강도를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일조 강도는 태양
빛
이 내리쬐는 세기를 말합니다. MCM 모형은 ‘은닉 마르코프 모형’을 계산하기 좀 더 쉬운 형태로 수정해 연구진이 새로 만든 통계 모형으로, 시간에 따른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측 결과를 확률로 계산합니다.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