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죽어서도 영원히 사는 미이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집트인만의 독특한 내세관우리는 주위에서 묻힌지 오랜 시간이 지나도 썩지 않고
원형
을 그대로 간직한 미이라 형태를 많이 보게 된다. 이런 경우는 대개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이런 지대는 약알카리성의 토양, 건조한 모래사막, 동토지대, 늪지대(이탄지대도 포함)와 탄산칼슘(CaCO3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이 머리뼈는 인체가 다 썩은 뒤에도 오래 남게 된다. 1천년이 넘도록 파묻혀 있어도
원형
을 유지할 만큼 단단한 머리뼈에 보호되어 있는 뇌는 대뇌 소뇌 숨골 등 세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각각이 맡은 기능도 서로 다르다.뇌는 아주 연한 조직으로 되어있고 꾸불꾸불하게 주름이 진 대뇌피질이 ... ...
1. 책상위에서 모든작업 「완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초반까지만 해도 한글자씩 찍어내는 수동사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것은 여러 글자의
원형
들을 마이크로필름화 해두어 원하는 크기로 인화지에 사진 찍듯이 촬영한 후 현상과정을 거치는 사진식자 방법이다.여기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것이 전산사식이다. 전산사식은 고성능 편집기를 사용하며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전시돼 있으나 발사실험을 할 수 있는 실제품은 아니다. 이번에 우리나라 고대 로켓이
원형
그대로 발사실험까지 할 수 있게끔 복원된다면 고대로켓사에서는 신기원을 이룩하게 된다. 신기전은 설계도는 남아 있어도 성능에 관련된 기록이 없어 애를 먹었는데 복원실험이 이루어진다면 성능을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쇠부리가마터는 현재 저수지가 돼 물이 잠겼으나 저수지 가의 산기슭에 가마 하나를
원형
대로 복원해놓았다.원광을 참숯과 섞어서(원광과 숯의 비율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1 : 1에서 1 : 3까지 추정) 쇠부리가마안에 집어넣고 풀무장치를 이용하여 강한 바람을 집어 넣어 광석을 금속(철)으로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60}$은 라이스대학의 스몰리교수 연구진에 의해 벅민스터플러렌이라 명명됐다. 이 이름은
원형
구조 건축물 설계의 대가인 벅민스터 풀러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이 긴 이름 외에도 간단히 풀러렌(fullerene) 벅키블(buckyball) ${C}_{60}$ 등으로 불린다. 이 화합물은 20개의 6각형 탄소고리와 12개의 5각형 ... ...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수백개의 기둥구멍이 있다는 것, 그보다 작은 원을 그리는 돌기둥이 서 있다는 것,
원형
돌기둥 안쪽으로 평면 ㄷ자모양의 구조물은 동북쪽으로 열려있는데 열려진 동북쪽 멀리 큰 돌(Heelstone)하나가 서 있다는 것 등을 밝혀냈다. 그것만 가지고는 누가 언제 왜 이런 엄청난 규모의 구조물을 세웠는지 ... ...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앓고 있는 환자의 반수 정도는 그들의 손톱에 볼펜 촉 크기의 구멍이 나 있다. 그리고
원형
탈모증 환자는 손톱에 작은 돌기가 생길 수 있고, 손톱에 흰빛이 도는 가로줄이 나타나면 혈액내 알부민의 부족 또는 유독화학약품에 기인한 신장질환에 걸렸을 가능성이 크다.'손톱처럼 강하게'란 표현이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되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스타시티에서 무중력 적응연습은 주로 물속에서 한다. 3층짜리
원형
건물의 중앙에 지름 23m, 깊이가 12m의 대형 물탱크가 있고 그 속에는 상하로 움직이는 지름 11m의 원판위에 미르 우주정거장이 설치돼 있다. 물탱크에 물을 채운 뒤 원판을 하강시켜 탱크의 바닥에 미르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양철로 만든 당나귀'. 이 희귀한 이름의 비행기가 외형상으로만 보면 현대 비행기의
원형
이 되고 있다. 이후 기체의 소재는 강도가 많이 보강되고 더욱 가벼워진 두랄루민의 후예들이 등장, 첨단항공기를 구성하고 있다.1차대전이 끝나자 전투기보다는 사람이나 화물, 우편물을 실어나르는 본격적인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