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실제 모습을 조각해주는 '로봇조각가'가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한 어여쁜 여성이
원형
캡슐속에 들어가 잠시 앉아 있으면 특수카메라는 딱 한장의 사진을 찍는다. 이 한장의 사진으로 컴퓨터는 조각 대상품의 3차원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것이다. 이 데이터는 곧바로 컴퓨터그래픽시스템으로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양철로 만든 당나귀'. 이 희귀한 이름의 비행기가 외형상으로만 보면 현대 비행기의
원형
이 되고 있다. 이후 기체의 소재는 강도가 많이 보강되고 더욱 가벼워진 두랄루민의 후예들이 등장, 첨단항공기를 구성하고 있다.1차대전이 끝나자 전투기보다는 사람이나 화물, 우편물을 실어나르는 본격적인 ... ...
(2) 유전병 치료의 새 시대 열어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비교적 수월하게 하고 있다. 대장균의 게놈은 4백 70만 염기쌍 크기의 염색체 DNA가 한개의
원형
을 이루고 있어서, 동원체나 말단소립 없이 복제원만으로도 복제와 분리가 가능했다. 따라서 염색체에 따로 특정한 유전자를 주입하지 않아도 원하는 유전형질을 전할 수 있었고 또 어느 유전자가 게놈의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반토가 습기조절팔만대장경이 장구한 세월을 거치고도
원형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데는 보관소인 장경각의 우수한 시설 덕이 크다. 대장경이 보관돼 있는 장경각은 해인사 안에서도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때(802년) 창건된 이래 모두 ... ...
유전자검색 어떻게 활용되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DNA는 비교적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사진 2)에서 보면 11개월이 지나도(3,4로 표시된 것)
원형
의 유전자형(1,2로 표시된 것)을 보였으며 정액은 여자의 질내에서 성교후 76시 간까지로 원래의 유전자형을 나타냈다.유전자형 검색을 범죄수사에 보다 완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유전자 부위를 ... ...
태양전지 거북선·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태양전지거북선의 디자인은 솔라카와는 다른 차원의 어려움이 있다. 거북선의 옛모습을
원형
그대로 살리는 문제가 있기 때문. 지금까지 거북선 관계자들을 모아 여러차례의 회의를 가졌으나 아직까지 완전한 모습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거북선연구회나 원로 교수들은 완벽한 옛모습의 복원을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그 내용물을 꺼내 그릇에 담고, 손가락으로 초당 70회씩 휘저었다고 한다.대개 로봇의
원형
은 자연계의 동물과 곤충에서 따왔다. 예를 들어 뱀의 등뼈와 그를 둘러싼 근육에 대한 연구는 보다 유연한 팔의 동작이 필요한 곳인 굴곡진 곳의 청소와 같은 응용분야에서 사용되었다. 또 빌딩 벽을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진수하다가 수몰된 배이지만 복원기간이 1961년부터 1989년까지 28년이나 걸렸습니다. 거의
원형
을 건져 올렸고, 인양지역 주변의 물도 맑고, 참나무로 만든 튼튼한 배인데도 말입니다."이소장은 이렇게 한국인의 '빨리 빨리' 신드롬을 꼬집는다.서양의 배는 주로 활엽수인 참나무로 제작됐고 동양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과학실험이 이루어지는 월면기지는 언제쯤 이루어질까. 월면기지의 주요구조는
원형
돔과 실린더형 통로. 이는 주로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기지 내부는 1기압이 유지돼야 한다. 사람이 거주하면서 활동하는 유인월면기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인월면차나 로봇에 의한 기지건설이 ... ...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알려진다. 또한 이곳에는 강진군에서 운영하는 고려청자사업소가 77년부터 고려청자를
원형
그대로 구워내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고려청자는 10세기에서 14세기 후반까지 주로 제작됐다는 것이 이제까지 국사학계의 정설이었다. 그러나 최근 장보고의 해상무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청자의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