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연구를 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듯 학생들도 동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쓴다. "
천문
학자가 되는 게 꿈이라 우주에 관심이 많아요. 우주와 무한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잖아요. 자연스럽게 ‘무한’에 관심이 갔어요. 아직 중학생이라 학교에서 무한을 가르쳐주지 않으니 직접 여러 책을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발견되면서 빅뱅이론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어요. 1940년대 후반 러시아 출신의 미국
천문
학자 조지 가모프가 빅뱅이론이 맞다면 대폭발 때 나온 빛의 일부가 우주 어딘가에 남아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바로 우주배경복사였던 거지요. 호킹과 펜로즈는 입자물리학 이론을 이용해 특이점에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그렇다면 올해 발표될 블랙홀은 어떤 모습일까요? 프로젝트에 참여한 정태현 한국
천문
연구원 박사님은 “블랙홀의 한 쪽이 더 밝게 보이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추측했어요. 예를 들어 블랙홀이 회전할 때 고리에서 왼쪽은 빛이 우리를 향해 오고 오른쪽은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것이다" 1962년 10월 호킹은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진학했다. 그는 당대 유명한
천문
학자이자 ‘정상 우주론’의 옹호자였던 프레드 호일의 연구실에 들어가길 원했다. 그러나 거절당하고 데니스 시아마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교수의 제자가 됐다. 당시 그가 관심을 갖던 분야는 ‘우주론’과 ... ...
[과학뉴스] 고체이면서 액체인 ‘초이온 물 얼음’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얼음의 성질과 동일했다. 연구에 참여한 레이먼드 지안로즈버클리대 지구·행성물리 및
천문
학과 교수는 “천왕성과 해왕성에 형성된 독특한 자기장을 설명하기 위해 내부에 초이온 물 얼음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됐다”며 “이번 실험 결과는 이 이론을 지지하는 근거”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67 ... ...
Intro. 수학으로 보여주는 보이지 않는 우주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오늘날 우리는 관측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에 저 멀리 보이는 은하뿐만 아니라, 우주가 탄생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남긴 흔적까지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직도 모르는 ‘무언가’가 훨씬 많다. 그 무언가는 우주를 설명하는 궁극의 방정식 속에 숨어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우주 팽창을 설명하는 새로운 모형을 만든 것이다. 1929년 미국의
천문
학자 에드윈 허블이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면서 프리드만의 우주론은 힘을 얻었다. 결국 아인슈타인은 우주상수를 일생일대의 실수라고 말하며, 자신의 방정식에서 우주상수를 빼기에 이른다. 훗날 프리드만이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않도록 암흑물질의 중력이 작용한다고 주장했다. 케플러의 법칙★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
학자인 케플러가 발표한 행성 운동에 대한 3가지 물리 법칙이다. 케플러 제2법칙에 따르면 태양계의 행성은 태양과 가까울수록 빨리 움직이고, 멀수록 느리게 움직인다.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을 찾을 수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앞서 살펴본 것처럼 오늘날의 우주론은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라는 개념을 도입한 수학 모형으로 우주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두 개념 모두 실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관측 결과를 잘 설명해주는 훌륭한 모형이지만, 아직 궁극적인 답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20세기 후반 등장한 ... ...
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기초한 우주팽창모형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총 16개의 2차 미분방정식을 풀어야 한다.
천문
학자들은 먼저 관측 결과를 근거로 우주가 균일·등방★하다고 가정했다. 그러면 2차 미분방정식 2개만 풀면 된다. 이를 풀어 얻은 결과는 우주가 점점 더 느리게 팽창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관측 결과도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