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앞서 살펴본 것처럼 오늘날의 우주론은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라는 개념을 도입한 수학 모형으로 우주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두 개념 모두 실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관측 결과를 잘 설명해주는 훌륭한 모형이지만, 아직 궁극적인 답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20세기 후반 등장한 ...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6500만 년 전 소행성 충돌보다는 작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소행성의 구성 성분이 지구 전역에 퍼지려면 소행성의 구성 성분과 운동에너지, 충돌 각도 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돼야 한다”며 “6500만 년 전 충돌은 크기 10km가량의 소행성이 초속 2 ... ...
- [과학뉴스] ‘외계인의 소리’ 어디에서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포착된 ‘FRB121102’은 유일하게 두 차례 이상 발생했다. 연구진은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천문대에 있는 윌리엄고든망원경에서 FRB121102의 신호를 16차례 반복적으로 감지한 뒤 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 파열음은 높은 ‘패러데이 회전율’을 갖고 있었다. 패러데이 회전은 전파가 전리권을 통과할 ...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발견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공동 연구팀은 1월 11일 미국천문학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전 세계 시민 과학자 1만 명이 참여해 집단지성이 이뤄낸 쾌거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계행성계의 행성들 은 크기가 지구의 2~2.9배이고, 중심별을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려진다. 사람의 크기가 줄어든다는 설정이 과학적으로 가능할까. 유재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사람이 개미만한 크기로 줄어든다면 쓸데없이 강한 힘을 갖게 되는 동시에 피부를 통한 열에너지 손실이 커져 저체온증에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선 길이, 면적, 부피의 크기 변화를 ... ...
- [2017 메리 크리스MATH 파티] 지적인 크리스마스 파티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퍼즐 대결에서는 수학자뿐 아니라 참가자들이 놀라운 집중력을 보여줬습니다. 한편 천문대에서는 겨울철 별자리에 대해 알아보고 천체투영관에서는 캐나다 옐로나이프에서 직접 찍은 오로라 영상을 감상했습니다. 이렇게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수학동아가 함께한 제2회 메리 크리스MATH ... ...
- [통합과학 교과서] 지구의 속사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핼리 혜성을 발견한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도 지구공동설을 믿었어요.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도 지구공동설을 믿었어요. 지구공동설에 따르면 지구 안에는 또다른 태양과 세계가 있어요. 이 세계에서 육지는 바다보다 3배 넓고, 기후는 어느 땅에서나 일정하지요. 또한 이곳에 사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통합과학 교과서 참조)⑤ 태양계의 4번째 행성이며, 붉은 색을 띤다. (냥이 대장의 별별 천문대 참조) [세로]❶ 태양빛 중 가시광선보다 짧은 파장을 가진 빛. 사람의 피부를 태우거나 살균 작용을 한다. 고흐 그림의 가 색깔이 변한 이유는 이 빛을 쬐었기 때문이다. (기획 ‘반 고흐’ ... ...
- [통합과학 교과서] 비밀스런 물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너무나도 어리다”우주의 신비를 전하는 과학교양서 의 작가이자 미국의 천문학자 인 칼 세이건은 이렇게 말했어요. 빅뱅 이론에 따르면 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 년이나 되거든요. 반면 인간이 지구에 나타난 뒤 지금까지 살아온 시간은 매우 짧아요. 칼 세이건은 ‘우주 달력’을 통해 ... ...
- [과학뉴스] 조선 밤하늘 9일간 붉게 물들인 오로라과학동아 l2018년 01호
- 9일간 나타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남반구 티모르섬에서 오로라를 봤다는 독일 천문학자의 기록도 찾았다.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동시에 오로라를 관측한 최초의 기록이다. 하야카와 교수는 “태양 흑점 개수나 오로라 발생 기간 등을 고려해 지금까지 최대 규모로 알려진 1859년 카리브해의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