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탐사도 발목잡은 코로나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3
통해 엑소마스 발사를 2022년으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엑소마스2020 연기의
표면
적인 이유는 7월 발사를 앞두고 로버를 화성에 착륙시키는 데 필요한 낙하산 시스템과 전자모듈 고정 테스트, 우주선 소프트웨어가 완성되는 데 충분한 시간이 남아있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러나 코로나19 ... ...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점점 자세히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비슷하게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인체 세포의
표면
에 있는 ‘에이스투(ACE2)’ 단백질을 인식해 전염되며 이 과정에는 아미노산 중 하나인 세린을 분해하는 세린 단백질가수분해효소(프로테아제)가 사용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여성이 더 오래 사는 이유
2020.03.10
없는 X 가설의 맥락에서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코로나19바이러스는 세포
표면
의ACE2 단백질에 달라붙어 안으로 침투한다. 그런데 ACE2 유전자가 X염색체에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가 잘 달라붙는 유전형(S형이라고 부르자)의 비율이 10%라고 가정하면 남성의 10%는 코로나19에 쉽게 ... ...
광범위 독감 바이러스에 듣는 '범용' 백신, 임상시험
연합뉴스
l
2020.03.10
반응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매년 만들어지는 독감 백신은 독감 바이러스
표면
에 있는 단백질을 공격하는 항체의 생성을 촉발한다. 그러나 이 표적 단백질은 자주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그때마다 새로운 백신을 만들어야 한다. 새로 개발된 이 범용 백신이 표적으로 하는 ... ...
삼성전자, 車배터리 크기 줄이는 '전고체전지' 혁신기술 공개
연합뉴스
l
2020.03.10
문제가 있다. 덴드라이트(수지상결정·樹枝狀結晶)는 배터리를 충전할 때 리튬이 음극
표면
에 적체하며 나타나는 나뭇가지 모양의 결정체로, 배터리 분리막을 훼손한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전고체전지'(All-Solid-State Battery)의 수명과 안전성을 높이고 크기는 반으로 줄이는 ... ...
“가벼운 운동 코로나19 면역력 높인다"..."헬스장·체육관에선 감염 주의해야”
2020.03.09
코로나19 외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금속이나 유리, 플라스틱
표면
의 바이러스는 최소 2시간에서 최대 9일까지 살아남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이유로 코로나19 감염 위헙이 큰 지역사회에서는 체육관이나 헬스클럽에서도 특정 장비에 바이러스가 검출될 확률이 높다.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코로나19 예방에는 전혀 도움이 안 되는 행동
동아사이언스
l
2020.03.09
동물성단백질에서 더 잘 증식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바이러스는 숙주의 세포
표면
에 나 있는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세포 내로 침입한다"며 "고기를 많이 먹는다고 해서 그 수용체가 특별히 증가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오히려 음식을 통해 바이러스 ... ...
아이가 코로나19에 걸렸을 땐 이렇게 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3.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태어난지 몇 개월 되지 않았거나 학교에 입학하기 전인 아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에 걸렸을 때 효과적으 ... 50으로 희석) - 희석방법(1 mL 희석액 기준): 물 1000 mL, 5% 락스 20 mL - 접촉시간: 구멍이 없는
표면
은 10분 이상, 물품 침적시 30분 침적 ... ...
[표지로 읽는 과학]3D 액정 속 카오스 첫 실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0.03.08
제공 이글이글거리는 태양의
표면
처럼 소용돌이치는 불꽃은 액정 안에서 물질들이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이다. 일정한 방향도 없고 규칙도 없이 혼란스럽게 움직일 뿐이다. 물리학계는 이런 이런 현상을 '카오스(혼돈)'라고 부른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6일 입체(3D) 액정에서 일어나는 ... ...
자동광학검사 최강자, 생기원과 미래소재 검사기술에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3.06
빛의 파장과 반사하는 파장이 제각기 달라 고품질 영상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표면
의 거칠기와 반사율도 기존 소재와 다르다. 기업이 이 소재를 써서 제품을 개발하는 동안에는 이런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다. 기가비스는 형광과 가시광을 조합한 자동검사조명기술을 개발해 이 문제를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