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2. 네트워크 보안전문가 김창범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 약효가 끝나가는 것 같다”고 했다.뜯어봐야 속이 후련해2-3년 전 만해도 컴퓨터가
눈
에 보이면 왠지 마음이 편안해졌는데, 이젠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여야만 안심이 된다. 일종의 직업병이다. 또하나 컴퓨터로 동작하는 것을 보면 무엇이든 뜯어보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는 점이다. ATM기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런데 공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면 어떻게 될까. 그리고 공의 크기가 1억분의 1cm가 돼서
눈
으로 볼 수도 없고, 손으로 만질 수도 없으면 어떻게 될까. 그런 경우에 필요한 것이 바로 화학적 지식이다.분자들은 열역학적인 이유 때문에 가능하면 다른 종류의 분자들과 서로 섞여서 존재하는 것을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다른 문제는 물론 새로운 평가단이 과연 활성단층에 대한 조사를 제대로 수행하는지
눈
여겨 봐야 한다.한반도는 지진 불안전 지대 - 몇천만년 후 지진다발지역으로 변할지도한국은 일본에 비해 지진이 별로 발생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일본이 지진의 방패막이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지진이 ... ...
한국야쿠르트 이은선 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후원하는 외국기업체들이 자신들의 회사 일처럼 행사를 관리하는 모습은 종종
눈
에 띈다. 하지만 국내기업이 20년전부터 과학행사후원을 발전적으로 지속한 경우는 드물다. 조금만 힘들면 쉽게 내팽개쳐버리는 것이 우리네 환경이다. 사실 한국야쿠르트가 국내에서 드문 일을 추진해온 예는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6. 의학물리학자 유돈식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한다. 만약 X선이 없다면 어떨까. 아마 다리를 다 해부해 봐야 할 것이다. 그러고 보면
눈
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게 만들어준 X선은 참 고마운 존재다. 사실 X선이 의료행위의 필수품이 될 수 있었던 것은 1895년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하면서 의학과 물리학이 손을 잡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두고 ... ...
아우슈비츠와 731부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중국인과 조선인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의학실험이라는 명목으로 자행된 실험들은
눈
을 뜨고 볼 수 없고 귀를 열고 들을 수 없을 만큼 잔인했다.고속원심분리기에 사람을 넣어 생피를 짰고, 혈관에 말의 피를 넣는가 하면, 인체의 70%가 수분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마루타를 한증막에 넣고 수분을 ... ...
모나리자가 살아서 미소짓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본질을 구현하려는 과학자와 똑같은 욕구가 들어 있다. 그래서 미술은 과학과 떨어질 수 없다.
눈
으로 보는 것과 머리로 생각하는 것을 덜 잘 표현하고자 했던 미술가들. 그들이 그림속에 구현해놓은 과학적 사고들을 들추어 보자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서 있는 ‘다비드’는 마치 살아 있는 사람처럼 현실의 공기를 호흡하고 있다. 특히 그의
눈
썹과 손목의 힘줄은 마치 살아 있는 사람처럼 피가 통해 꿈틀꿈틀 움직이고 있는 듯하다. ‘다비드’가 이전의 조각과 다른 점이란 바로 이 살아 숨쉬는 듯한 생동감에 있었다. 르네상스의 미술가들은 ... ...
안경으로 착용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귀 부근의 안경다리에서 한쪽 렌즈에 부착돼 있는 작은 거울과 같은 장치로 투사된 후
눈
으로 전달된다. 이런 방법으로 컴퓨터와 외부 세계를 동시에 바라본다. 또 어떤 자세에서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안경형 컴퓨터의 드라이브는 약 9cm 크기의 널빤지 모양으로 휴대하기가 매우 편하다. ... ...
인도의 우주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있다.군사력을 키우기 위해 우주개발을 시작한 인도는 1992년부터 서서히 상업화하는데
눈
을 돌리고 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 17기의 인공위성 운용 경험과 2기의 위성발사체를 활용해보자는 것이다. 그 첫 단추가 우리나라에 의해 마련된 것이다.하지만 우리별 3호를 싣고 갈 PSLV는 불안하기 ... ...
이전
748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