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만들어진 빛나는 천체들의 평균밀도는 겨우 ${Ω}_{0}$≃0.04±0.01에 불과하다. 이것은 우리 눈에 밝게 보이는 은하들은 이 우주에 ‘있어야 하는’ 질량의 10%가 채 되지 않음을 뜻한다. 결국 거의 소경이나 진배없는 천문학자들이 우주를 바라보며 연구하고 있다고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닌 것이다. ... ...
- 1945년 노벨생리, 의학상 플레밍, 폴로리, 체인과학동아 l1999년 04호
- 페니실린이 보급될 때까지 40년 가까이 신비의 약으로 널리 쓰였다. 오늘날의 눈으로 보면 별로 대단한 것이 못되지만 이 약은 당시까지 쓰이던 수은제제에 비해서 약효가 뚜렷하고 독성이나 부작용이 적어 '마법의 탄환'으로 불릴만했다. 에를리히는 살바르산 606을 개발해 수많은 매독 환자에게 ...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제각기 흡수하는 것이다.다음은 현상 단계다. 흑백의 경우 필름에 새긴 이미지를 눈에 보이게 드러내려면 액채 현상액에 필름을 담가야 한다. 이때 은원자의 수가 대폭 증가한다. 현상액이 브롬화은 결정을 인식하고 여기에 전자들을 채워넣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필름에 새겨진 이미지는 더욱 ...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자연은 종종 관찰과 경험의 눈으로 볼 때 위대한 힘을 인간에게 더해준다. 어부들은 오랫동안의 경험으로 조석시간과 높이는 물론, 풍랑과 고 ... 때문이 아니었을까. ‘아는 것이 힘’이라는 프란시스 베이컨의 말처럼 자연은 관찰과 경험의 눈으로 볼 때 그 위대한 힘을 인간에게 더해준다 ... ...
- 인터넷 과학공부방 베스트 10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중 한양대학교 화학과 최정훈 교수의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만든 ‘화학의 세계’가 눈에 띈다.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현상과 소재로부터 화학이야기를 끌어낸 것이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이로부터 책에 나오는 화학 반응식과 화합물들을 연결시킨다는 것은 무리일 듯. 부담없이 재미있게 ...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과학동아 l1999년 04호
- 그러나 아인슈타인이 그때 생각한 우주는 사고(思考) 속의 우주였다. 당시까지만 해도 눈에 보이는 우리은하가 곧 우주의 전체라고 믿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 역시 은하라는 천체에 대해 아는 바가 전혀 없었다. 우리은하의 구조와 그 안에 있는 태양계의 위치가 올바로 알려진 것은 191 ...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담겨 있다. 파이어니어 10호는 1973년 12월 목성 탐사를 마쳤으며, 2백만년 후 황소자리 눈에 해당하는 알데바란에 도착할 예정이다. 그림엽서는 알루미늄면에 도금을 한 형태인데, 미국칼 세이건이 아이디어를 내고 당시 부인이던 린다가 그림을 그렸다.그림 왼쪽 위에는 우주에 가장 많을 것으로 ... ...
-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머리털 가운데 모여있는 별무리는 Mel. 111로 불리는 약 2백20광년 떨어진 산개성단으로, 맨눈에도 옅은 구름이 걸려있는 것처럼 보일만큼 뿌연 모습을 드러낸다.처녀자리 Virgo처녀자리는 바다뱀자리에 이어 2번째로 큰 별자리로, 황도 12궁 중 태양이 가장 오랫동안 머무는 별자리다. 처녀의 모습을 ...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과학동아 l1999년 04호
- 향해 던져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물 속에 보이는 것이 굴절현상으로 인해 우리 눈에 약간 떠 보인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또 대기굴절로 천체들이 지평선 부근에서 떠 보이는 현상도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다. 달이나 별은 실제보다 수평선 위로 떠올라 보이는데, 이유는 지구 ...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과학동아 l1999년 04호
- 관찰자 아래쪽으로 730m 지점에도 물방울이 있다면 그 물방울에서 나오는 빨간색 빛도 눈으로 들어올 것이다. 그런 물방울들을 전부 모으면, 태양과 나를 연결한 직선이 물방울들이 모여 있는 평면과 만나는 곳을 중심(반일점)으로 원이 된다. 즉 원모양의 무지개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 ...
이전750751752753754755756757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