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03
탐사팀은 버스안에서 사흘간 관찰했던 규슈의 지질구조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렸다. 지도
교수
인 정창희박사의 지질학 강의도 곁들여졌다. 올해 71세의 노학자는 솔선수범하면서 탐사를 주도했고, 다방면에 걸친 해박한 지식으로 -그것도 유머감각을 가지고- 교사들의 질문에 대답해 주었다 ... ...
중성미자의 비밀은?
과학동아
l
199103
설치했고 칠레지역에도 관측소를 건설중에 있다.이 계획을 총괄하고 있는 조지 아이작
교수
는 이렇게 결론짓고 있다. "태양중심부에 WIMP가 존재한다는 모델은 이론적으로 가상했던 태양모델보다 훨씬 비합리적이다. 달리 말하면 우리가 가상했던 태양의 구조는 그다지 틀린 것이 아니다. 중성미자의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03
것이 아니라는 점은 이제 명백하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정신생물학자 존 알만
교수
의 말이다.캘리포니아대학의 두뇌연구가인 커클랜드 박사는 "잠재의식은 우리에게 두뇌가 어떻게 기능하는가 또 의식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들의 본질에 접근하는 길을 제공해준다. 우리는 '의식'을 하기 위해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03
메탄 암모니아 수증기 수소로 이루어져 있었다. 1950년대 초 시카고대학의 밀러와 유레이
교수
는 이러한 기체들을 플라스크에 집어넣고 전기 방전을 시켰다. 그랬더니 화학반응이 일어났고 그 결과로 딱딱한 적갈색의 물질이 생성되었다. 그뒤 1975년 칼 세이건 등은 외부 태양계의 위성에도 그와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03
칠갑산에서 '점없는 털중나리' 신종을 발견, 동호회 고문인 이창복
교수
(서울대 명예
교수
)의 도움을 받아 학회에 등록했다. 이 식물은 '칠갑나리'로 명명됐고 학명(Lilium amabile Var. immaculatum T. Lee.)까지 획득했다.자생식물동호회 회장 이영주씨(48)는 "등산로 주변에는 사람 독 때문에 아주 질긴 것 외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
과학동아
l
199103
기관 등의 분야에도 퍼지 이론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에서 가장 활발자데
교수
가 퍼지집합을 제안한 이래 1974년 영국의 맴다니가 스팀엔진(steam engine)에 퍼지제어를 연구한 것이 기초가 되어 1980년대에 들어 상용화가 실현되었다. 최근에 퍼지추론 하드웨어의 개발로 가전분야에서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03
지층을 가리켜 대결층이라고 한다. 그러나 최근 강원도 정선부근 지층에서 연세대 이하영
교수
가 실루리아기 화석을 발견, 대결층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표준화석(標準化石, index fossil, guide fossil)어떤 일정한 지층에서만 산출돼 그 지층의 지질연대를 나타내주는 화석을 말한다. 실제로 이 표준화석을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03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호주의 뉴 사우스 웨일즈대학 전자공학과 마틴 그린
교수
는 최근 에너지효율을 24%까지 향상시켰다고 주장했다. 규소(silicon)와 은(銀)을 기본소재로 삼아 태양전지를 만들었더니 에너지효율이 크게 높아 졌다는 것. 일본도 이 분야를 집중연구하고 있는데 일본의 ... ...
노벨상물리학자「존 바딘」별세
과학동아
l
199103
프린스턴대학을 졸업하고 1951년부터 일리노이대학에서 연구를 수행했다.그가 명예
교수
로 있던 일리노이대학의 모턴총장은"어떤 미국인도 뛰어넘지 못할 업적을 이룩한 이 시대의 마지막 거인"이라고 그를 평가했다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03
지나가는 중성미자를 포착하기 위해 검출 장치를 설치해 놓고 있다.그러나 하임 할라리
교수
가 말했듯이 중성미자물리학은 아무 것도 관측하지 못하면서 계속 발달하고 있다. 지난 몇십년 동안 우리는 중성미자에 대한 많은 것을 알았다. 예컨대 어떻게 물질과 부딪쳐서 생성되고 없어지는가를. 또 ... ...
이전
760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