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02
포함한 시간부담만으로 따진다면 대학
교수
에 비해 그야말로 '놀고 먹기'다(대학
교수
는 주당 12시간이 보통이지만, 전공이 세과목 이상 된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그러면서도 수학교사끼리의 연구협의체가 있다는 말을 아직 들어본 적이 없다. 연구수업 등 실무적인 협의나 연수말고는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02
혼천의 부분에 연결시킨 지구의가 그것이다(과학동아 1989년 9월호 참조).천문학
교수
이민철과 송이영은 혼천시계에 지구의를 가설했는데, 거기 그린 세계지도의 바탕 그림이 1602년의 마테오 리치세계지도였다. 지금 고려대 박물관에 보존돼 있는 송이영의 혼천시계에 들어있는 직경 8.9㎝의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01
주장하고 있고, 미국 남부지역을 대표하는 텍사스대학의 드 보클레르(De Vaucouleurs)
교수
는 약 1백억년을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오차를 줄이기 위해 1백억년과 2백억년의 중간인 1백50억년을 우주의 나이로 잡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다.아무튼 1백50억년 전 대폭발이 일어나 우주가 계속 팽창해 현재에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01
들여왔으나 학내 분규 때문에 상자속에서 썩고 있는 실정.서울대 천문학과 이시우
교수
는 "국립대학에서 20인치 이상은 처음이며 이는 전문 연구용으로 손색이 없는 시스템"이라며 "1년에 최소 2천만원 이상 드는 운영경비를 조달하기 위해 천문학과 소속이 아닌 대학 소속으로 만들 예정"이라고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01
교수
들의 경우, 나이가 든 노
교수
일수록 더 폭넓은 지식을 갖고 있었다. 나이 지긋한
교수
의 해박한 지식과 적극적인 연구정신 앞에서 한 한국유학생은 깊은 감명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화학'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정의를 내릴 것인가. 한마디로 이렇다 하기에는 너무나 광범위한 분야다. 화학으로 ... ...
자외선의 양 측정 콘택트 렌즈 등장
과학동아
l
199101
자외선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야 하는데 최근 퀸스랜드대학의 로렌스 히스트
교수
팀은 자외선량 측정용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 CR-39 또는 알릴 디글리콜카보메이트와 자외선에 민감한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을 소재로 무척 색다른 기능을 가진 콘택트렌즈를 제작한 것이다.자외선은 이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1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사람은 일본 시즈오카 대학의 스기야마
교수
였다.스기야마
교수
에 따르면 이끼류는 비가 오면 먼저 균류가 그 빗물을 욕심껏 먹어 물을 저장한다고 한다. 이 수분을 말류가 동화작용할 때 이용한다.그런데 도시의 대기는 굴뚝에서 나오는 아황산가스 때문에 심하게 오염돼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01
있었을까. 1950년대 초 시카고대학의 대학원생이었던 밀러(Stanley Miller)는 유레이(H.C. Urey)
교수
의 지도하에 박사학위논문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보려고 시도했다.그는 (그림)과 같은 장치를 마련하여 플라스크에 물(${H}_{2}$O) 메탄(${CH}_{4}$) 암모니아(${NH}_{3}$) 및 수소(${H}_{2}$)의 혼합기 ...
가장 오래된 다세포동물 화석
과학동아
l
199101
이 생물은 지름 1㎝의 크기로 말미잘과 비슷하게 생겼다.몬테리오주 퀸즈대학의 가이너본
교수
는 이 동물의 몸이 물컹물컹했으며 위쪽은 열려있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생존시기는 선캄브리아기의 마지막 빙하기 이전.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다세포동물은 선캄브리아기 이후에 살았던 에디아카라 ... ...
초고속 컴퓨터를 탄생시킬 초전도 기술
과학동아
l
199101
1백20도에서 초전도현상을 확인한 바 있으며(표준연구소 박종철박사팀과 서울대 김정구
교수
팀), 이를 바탕으로 조셉슨접합을 이용한 SQID(초전도 양자 간섭장치)를 포항공대와 표준연구소에서 개발중이다. SQID는 '가장 예민한 센서'의 하나로 간질병과 파킨슨씨병을 진단하는데 활용된다 ... ...
이전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