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바이오리듬 파약해야 공부도 잘할수 있어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전환하는 위험일을 '큰 위험일'이라고 부른다. 이는 저조기에서 상승하는 것보다 낙차가
크기
때문이다. 전구촉이 끊어지기 쉬울 때가 전기를 켤 때와 끌 때인 것과 같은 이치이다. 또 봄 가을 환절기에 질병에 걸리거나 죽는 사람이 많은 것과도 같다. 그러나 저조기라 해서 염려할 것은 없다. 오히려 ... ...
시력을 다시 찾아주는 각막이식수술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그래야 각막편을 환자의 각막변에 봉합할때 편리하다. 환자의 혼탁된 각막도 같은
크기
의 트리파인을 써서 도려낸다. 그뒤 이미 떼놓은 맑은 각막을 환자 눈으로 옮겨와서 23마이크론의 나일론 실로 봉합한다.끝으로 전방속에 무균적 식염수나 공기를 주입하고 수술을 끝낸다. 항생제점안등 점안은 ... ...
15억년된 599캐럿의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광산에서 발견된 세계 최대의 다이아몬드가 최근 보도진에 공개되었다. 이 다이아는
크기
에서 최대일뿐아니라 질에서도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하트모양으로 컷팅을 한뒤 경매에 붙여질것이라고. 보석 전문가들은 4천만달러 정도는 받을수 있으리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제까지 제일큰 ... ...
공포의 아프리카 메뚜기군단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천만에서 8천마리가 될것이라고 한다. 또한 메뚜기는 몸집에 비해 대식가인 편이어서 1㎢
크기
의 메뚜기떼는 하루에 1백톤의 식물을 먹어 치운다고 한다. ●- 비오면 더욱 극성 북 아프리카 여러나라들은 이 메뚜기떼의 퇴치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때 가뭄이 심할때에는 메뚜기떼가 잠잠했었다. ... ...
훌륭한 천체관측시설갖춘 경기도 학생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직각으로 합성돼 항상 같은 모형을 고무판위에 그리게된다(흔들어주는 폭에 따라 모형의
크기
는 다르지만). 이런 모양의 그림을 리사쥬곡선이라 하는데, 도형의 양쪽 가장자리에 모래가 많이 쌓이고 안쪽으로는 적게 쌓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진자의 구멍에서 흘러나오는 모래의 양이 일정하다면, ... ...
부활을 기다리며 냉동인간 제조 이미 수백명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어느 수준에 올라 있지만 장기의 냉동보존은 이제 걸음마 단계. 장기는 우선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항냉동제를 사용할 때도 어려움이 따른다. 짧은 시간에 식속히 그리고 균일하게 항냉동제가 장기의 구석구석에 미치기 어렵다는 얘기다. 이렇듯 장기하나를 제대로 냉동보존하는 것도 요원한데 "현 ... ...
PART4 왜 동물은 털이 많을까?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모낭과 연결되어 있어서 분비물은 모공을 통하여 피부로 배출된다. 피지선의 분포와
크기
는 동물에 따라 다르다. 여우원숭이 박쥐 등에서는 크고 많은 수의 피지선이 분포하는데 반하여 피부의 특정한 부위에만 분포되어 있는 것도 있다. 개의 꼬리에는 항문에서 약 5m 정도 떨어진 부위에 꼬리선 ... ...
감마선의 시사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지나치게 크다면, 그것의 중력으로 원자핵들이 붕괴될 것이다. 그러면 별은 거의
크기
가 없어지고, 중력장의 세기는 한없이 커지게 된다. 물체들은 이 응집된 별로 빨려 들어가고, 어떠한 것도 그 중력을 이겨내지 못하여 빠져 나올 수 없게 되며 따라서 그것은 마치 우주의 무한히 깊은 구멍과 같이 ... ...
고교생이 다이아몬드를 만들어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다이아몬드는 인공적으로 만들수있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진공펌프나 압력용기등 최저 수천만원어치의 장비가 필요하다. 그런데 일본 '치바'의 한 ... 결정되었다. 이 결정을 현미경으로 관찰해 보니 수많은 다이아몬드가 반짝이고 있었으며
크기
는 1천분의 몇 ㎜에서 1백분의 1㎜정도였다 ... ...
고고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는 주사전자현미경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사용에는 적지않은 어려움도 있다. 자주 문제가 되는 것중의 하나가 관찰대상물체의
크기
가 1㎝ 정도로 작아야 하므로 시료를 잘라 관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주사전자현미경의 경우는 관찰을 위해 시료를 금속막(膜)으로 입혀야 한다. 앞서 언급한 두루봉출토 뼈연모의 경우는 유물의 음각 ... ...
이전
761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