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털링 엔진 HB-31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쪼이면 엔진이 회전하면서 전기를 만드는 일종의 ‘스털링엔진 발전소’가 된다. 실제로
미국
모하비 사막에서 이 같은 방식의 발전소가 건설 중이다.독일에서 제작한 ‘스털링 엔진 HB-31’은 스털링 엔진의 진가를 체험할 수 있는 모형이다. 알코올램프로 실린더를 가열한 뒤, 약 30초 뒤에 손잡이를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1951년 구소련에서는 ‘토카막’이라는 도넛 모양의 핵융합장치를 개발했고, 1982년
미국
은 대형 핵융합장치인 TFTR을 완공했다. 1990년대에는 자기장으로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가두는 자기밀폐 장치에서 들어간 에너지만큼 핵융합에너지를 생산하는 핵융합 반응을 실험해 상용화 가능성까지 검증했다 ... ...
독창적인 주제를 꾸준히 탐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할 수는 없는 연구였기에 독창성을 인정받았다. 일관성과 지속성, ‘과제 집착력’
미국
국립영재연구소 렌줄리 소장은 영재성의 3가지 특성으로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 높은 수준의 창의성, 그리고 높은 수준의 과제 집착력을 들었다. 여기서 ‘과제 집착력’은 한 가지 과제나 영역에 오랫동안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기술을 버린 채 무(無)에서 새로운 네트워크를 세우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는
미국
이 앞장서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지금의 인터넷 구조와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의 혁신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인터넷과의 호환성을 과감히 버리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보고 있다. 이 연구는 앞으로 15년 이후를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말의 인테그린에는 달라붙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사람의 입장에서는 다행인 셈이다.
미국
농업연구청 동물질환센터 조나단 아르츠 박사팀은 구제역 바이러스가 소의 비인두(코 뒷부분과 목을 연결하는 부분)의 상피세포에 가장 먼저 침투한다는 사실을 밝혀 ‘수의병리학지’ 2010년 11월호에 ... ...
쓸모없는 열을 전기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곳을 통해 무의미하게 사라지는 열을 전기로 바꿀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개발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암염으로 만든 나노크리스탈을 텔루르화납에 넣어 열을 전기로 바꾸는데 성공했다.텔루르화납으로 전기를 만들려는 시도는 과거에도 있었지만 이번에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이 ... ...
달에 있는 물, 혜성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정설로 굳어졌다. 그 이후 과학자들은 달의 물이 어디서 왔는지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미국
테네시대 지구행성학과 래리 테일러 교수팀은 달에서 가져온 암석의 성분과 질량을 분석한 결과, 달의 물은 먼 우주에서 혜성의 충돌로 만들어졌으며 지구의 물과 다른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
홍역바이러스는 새로운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용해 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미국
텍사스대 의대 워너 브라운 교수팀과 메이요 병원의 로베르트 카타니오 박사 팀은 홍역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침투하는 방법을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부착단백질의 어떤 부위가 세포의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기회는 남아 있는 셈이다. 실제로 일반 전투기를 스텔스 전투기로 개조한 적도 있다.
미국
보잉사는 F-22가 등장하기 전까진 세계 최강 자리를 고수하던 F-15 전투기를 개조해 스텔스 기능을 추가한 ‘F-15SE 사일런스이글’의 시험 com비행을 2010년 7월 성공했다. 페인트칠 기법으로 전파 반사도를 ... ...
지구에 숨어든 외계행성의 전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피크는 눈이 견딜 수 있을 만큼 얇은 유리렌즈를 연마해 콘택트렌즈를 발명했다. 1936년
미국
의 검안사 윌리엄 페인블룸은 이것을 플라스틱으로 만들었다. 눈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유리렌즈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지금은 미용 목적으로 다양한 색깔의 렌즈를 만들기도 한다.칼이나 도끼로는 ... ...
이전
762
763
764
765
766
767
768
769
7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