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착
고착
안정
붙박이
불변
부착
붙바기
d라이브러리
"
고정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릿속이 투명한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사실이 밝혀졌지요. 하지만 그 동안에는 투명한 머리 안에 있는 두 눈이 머리 위쪽으로
고정
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미국 몬터레이만 해양연구소의 연구결과 관 모양의 눈이 머릿속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 ...
色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여기에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받아들인다면 병실도 일률적으로 흰색으로 칠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비단 병원에서만 이러한 색채 심리가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다. 독일의 괴팅건 와돌프 학교의 학생들은 매년 빨강, 핑크, 주황색 등 벽에 다른 색을 칠한 교실에서 ... ...
‘분장실의 강선생님’ 만든 분장화장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전에 접착제가 닿는 이마나 목은 알코올로 닦아내 화장기나 기름 성분을 없애야 잘
고정
된다.스프릿 고무는 골룸 머리에 몇 가닥 남지 않은 머리카락이나 긴 코털을 붙일 때도 쓰인다. 분장용 털은 누에고치에서 뽑은 실로 만든다.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사용한 털은 대부분 재활용하지 않는다는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그러나 DNA는 액체 속으로 들어가면 쉽게 녹기 때문에 인공근육 재료가 되려면 그 형태를
고정
시킬 필요가 있었다. 과학자들은 화학약품을 사용해 DNA를 두부처럼 부드러운 형태인 ‘하이드로겔’로 굳혔다. 하지만 이렇게 만든 DNA 하이드로겔 안에는 화학약품이 남았다.연구단은 지난해 화학적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식물성 플랑크톤에서는 이보다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로
고정
된다. ⓐ식물의 광합성과 ⓑ동물의 호흡 사이에는 자연의 오묘한 이치가 개입돼 있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만들고 이산화탄소를 소비하는 대신 산소를 내보낸다. 발생한 산소는 공기 중으로 섞여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날갯짓에 미묘한 변화만 주면 되기 때문이다. 토머스 교수는 “비행기처럼 날개가
고정
된 비행체를 설명하는 공기역학으로는 나비의 비행을 기술할 수 없다”며 “나비가 한가롭게 날개를 펄럭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여러 가지 공기역학 메커니즘을 연속적으로 구사하는 능숙한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생물이 이산화탄소를 탄수화물(포도당)로 병합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탄소
고정
회로 또는 광합성탄소환원(PCR) 회로라고도 한다. 이 회로를 밝힌 멜빈 캘빈의 이름을 붙여 캘빈회로라 부른다. 캘빈은 광합성 경로를 밝힌 성과를 인정받아 1961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피루브산인산 디키나아제(PPDK)C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일정하게 차이난다. 바퀴는 일정한 각속도 ω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시간 t초 일 때
고정
된 핀이 막대의 x축과 이루는 각도는 θ=ωt이고, 이때 핀의 x축 성분은 x=Acosωt이다. 이 운동은 최대값이 +A에서 -A까지 주기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바퀴가 회전하는 운동은 피스톤의 단진동으로 변환된다. Q2 다음 ... ...
정말 궁할 때 이용하는 페트병 냄비와 우유팩 냄비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실, 성냥이나 라이터, 물 약간● 실험 방법① 솜 또는 헝겊을 조그맣게 뭉쳐 실로 감아서
고정
한다.② ①에서 만든 솜(또는 헝겊)구슬을 알코올로 충분히 적신 후 불을 붙인다.③ 손에 물을 충분히 묻히고 젖은 상태에서 불을 붙인 솜(또는 헝겊)구슬을 저글링한다.● 실험 결과마술사나 가능할 것 ... ...
숭례문 화재 1주년 숭례문 부활의 현장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여 개나 되는 못이 박혀 있음이 드러났다. 현판을 지지하기 위해 덧댄 나무판과 장식판을
고정
하기 위해 사용했던 것이다. 엑스선으로 촬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못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해 나무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못을 뽑아 냈다. 적외선으로 숨어 있는 흔적을 본다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물체에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