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뉴스] 카메라를 등에 짊어진 딱정벌레가 바라본 세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월 15일, 미국 워싱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시암 골라코타 교수팀은 곤충의 시선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초소형 무선 카메라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이 장치를 딱정벌레의 등에 붙이고 주차장에 풀자, 120m 떨어진 연구진의 스마트폰에 딱정벌레가 찍은 주차장의 풍경이 전송됐지요 ... ...
- 과학자? 예술가? 현대미술과 과학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구조물이 너무 촘촘해 셀이 들어가기 어려워 최적의 조건을 알아야 했거든요. 또한, 재료공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 논문을 읽으며 크로마의 132개 마디 속 셀을 구성할 재료들을 고민했어요. 화학 실험처럼 비커에 다양한 재료들을 섞어가며 물질의 성질을 관찰하고, 재료의 복원력과 ... ...
- Let’s dance 인공지능, 안무가로 화려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상영된 이번 공연에서 선보인 안무는 미디어아트 그룹 슬릿스코프의 김근형 공학자가 개발한 인공지능 ‘마디(MADI)’의 작품이에요. 인공지능 마디는 춤, 음악처럼 시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를 학습해요. 여기에 어떤 포즈 다음에 어떤 동작이 올지 여러 경우의 수를 학습하는 모델을 결합했지요.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설명했답니다. _ 인터뷰배재성, 박상혁(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남극에서 태양광 무인 비행기를 날릴 거예요” Q 어떻게 하면 태양광 무인 비행기가 오래 날 수 있을까요? 일단 비행기의 무게가 가벼운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비행기 몸체를 설계할 때 필요 ... ...
- 비둘기 깃털에서 아이디어가 반짝! 태양광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의 실험맨, 정한길 기자예요. 최근 흥미로운 뉴스를 하나 봤습니다. 한국항공대학교에서 만든 태양광 무인 비행기 ‘KAU-SPUAV’가 지난 6월 최장 ... , 배재성(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박상혁(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 ... ...
- [특집] 아이디어1. 힘세고 오래 가는 태양전지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밑까지 붙여 태양전지의 면적을 넓힐 수 있겠죠?한편, 올해 6월 사우디아라비아 킹압둘라공학대학교 연구팀은 공 모양의 태양전지를 만들었어요. 이는 겉으로 불룩 튀어나온 반구 형태의 파리의 눈에서 착안한 모양이죠. 파리는 이런 구조의 눈 덕분에 넓은 범위의 빛을 받아들여 시야각이 270°나 ... ...
- [과학뉴스] 백악기 대멸종의 원인은 소행성 충돌 ‘각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연구해왔어요. 5월 28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지구과학공학과 캐러스 콜린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소행성이 45~60°로 날아와 피해가 컸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직경 약 180km, 깊이 20km인 칙술루브 충돌구의 구조를 분석했어요. 그리고 지름 17km의 소행성이 초속 1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구상나무 유전자 중 어떤 부위가 발현되는지를 2019년 7월 23일 국제학술지 ‘식물 생명공학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07/s11816-019-00553-0 김동욱 국립생태원 전임연구원은 “구상나무가 갑작스러운 기후변화에 대처할 때 발현되는 유전자를 찾아낸 뒤, 구상나무가 어린나무일 때부터 그 유전자가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장착한 후, 보다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던 것처럼, 핵융합 발전소에도 로봇공학이 적용되면 더 안정적인 발전이 가능할 것”이라며 “향후 건설될 DEMO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팔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인 258명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과학기술인도 많다. 대표적으로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와 송민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연구원은 과학동아가 마련한 온라인 강연을 통해, 장규진 국제보건컨설턴트는 과학동아의 커뮤니티 사이트 ‘사이언스 보드’에서 독자들과 소통했다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