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지구를 구하러 왔다! mRNA 백신의 탄생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지구를 괴롭히고 있다는 소식은 익히 들었어. 그래도 이제 나, ‘mRNA 백신’이 탄생했으니 다들 안심하라고. 그동안 나 ... 도움송대섭(고려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심은하(숭실대학교 수학과 교수), 김두진(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옥스퍼드대,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생명공학사 바이오엔테크, 미국 생명공학사 모더나, 그리고 미국 제약사 존슨앤드존슨에서 개발한 백신이다. 백신 개발에는 보통 10년 이상이 필요하지만, 이번에는 사태가 급박한 만큼 1년 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4종의 백신 후보 중 ... ...
                            
 
                        
                        
                                            
                                                            
                                                             - 이중섭의 '흰 소' 과학적 가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 멸종위기종 복원에 필요한 수정란 생산과 이식효율 향상 등 생식공학 기술 연구에도 백한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백한우 자체의 보존을 위해서도 연구가 필수입니다. 고응규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연구사는 “백한우는 개체 수가 매우 적은 만큼 근친교배에 ... ...
                            
 
                        
                        
                                            
                                                            
                                                             - 엘리트 교육, 자이언트 지원으로 스마트공장 시대 앞당긴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KERI) 입구에 5층 건물이 올라가고 있는데, 이 가운데 2층을 스마트기계융합공학전공 학생들이 사용할 예정이다. 3층은 국가지정학과로 함께 선정된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학생들의, 나머지 두 개 층은 한국전기연구원 연구원들의 연구공간으로 계획되고 있다. 박 단장은 “물리적 거리가 가까운 ... ...
                            
 
                        
                        
                                            
                                                            
                                                             - [신비아파트] 오싹오싹 귀신, 수학으로 퇴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힘인 ‘근력’이 늘면 점프 거리도 늘어나거든. 2021년 1월 김선정 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팀은 미국 텍사스대학교와 공동으로 사람의 근육보다 최대 30배 센 인공근육을 만들었다고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어. 김 교수팀이 개발한 인공근육은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꼬아 만든 ... ...
                            
 
                        
                        
                                            
                                                            
                                                             - [가상인터뷰] 더위를 견디는 낙타 털을 따라 해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덕에 수분을 보존할 수 있단다. 지난 11월 11일,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재료공학과 제프리 그로스만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낙타 털과 땀샘을 모방한 신소재를 개발했어. 이 신소재는 물체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보냉 기능이 뛰어난 게 특징이야.Q 낙타를 모방한 신소재에 대해 자세히 ... ...
                            
 
                        
                        
                                            
                                                            
                                                             - [기획] 상온에서 된다고? 떳다!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양자물질초전도연구실 교수), 한승용(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초전도응용연구실 교수) ★참고 (김찬중, 하늬바람에영글다, 2015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10분의 1로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답니다.  _ 인터뷰한승용(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초전도응용연구실 교수)  “초전도체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어요”  Q 교수님은 어떤 연구를 하고 계신가요?저는 초전도체를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 ...
                            
 
                        
                        
                                            
                                                            
                                                             - AI만 있으면 나도 작곡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음악이 완성된답니다. ● 인터뷰 "인공지능과 함께 예술작품을!"_안창욱(G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Q인공지능 작곡가 AI를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평소 음악에 관심이 많았어요. 그런데 곡을 만드는 건 매우 어려웠죠. 저는 작곡을 도와줄 인공지능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면 저뿐만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방광(膀胱, bladder) , 네트워크(network)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거죠.네트워크는 1972년, 미국의 전기공학자 밥 칸이 컴퓨터 20대를 서로 연결한 것에서 시작됐어요. 이 기술에 ‘전 세계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한다’는 의미로 인터내셔널 네트워크(international network)라는 이름을 붙였죠. 이걸 줄인 게 바로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