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화학물질에 저장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제이콥 로젠스타인 미국 브라운대 전자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아민, 알데하이드, 카르복실산, 아이소시안화물 등 4종류의 작용기를 가진 분자를 이용해 약 1500종류의 분자를 합성했다. 합성된 분자에는 각각 비트 순서를 부여하고 해당 ... ...
                            
 
                        
                        
                                            
                                                            
                                                             - [이공계 잡터뷰] 종합예술가 건축사 │ 예술과 인문학, 공학까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도하는 감리 업무가 대표적이다. 건축사사무소는 이런 업무를 담당하는 곳이다.사람과 공학을 잇는 건축사 하나의 웅장한 건물이 완성되려면 수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이 과정을 전체적으로 지휘하는 역할을 건축사가 맡는다. 책임과 역할이 크다. 오 소장은 “건축 예정 ... ...
                            
 
                        
                        
                                            
                                                            
                                                             - [수학뉴스] 자연과학 분야 대통령상 수상한 수학자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받았습니다. 또 함유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박정원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주영석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가 서인석 교수와 함께 젊은과학자상을 받았습니다. 시상식은 2021년 4월 21일 과학의 날에 열릴 예정입니다.                                                    ...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식물의 언어와 신호체계 역시 많은 과학자가 연구하는 주제입니다. 예컨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연구팀은 한 식물이 방출한 화학물질이 주변에 있는 다른 식물의 면역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미생물생태학회지’ 9월 24일자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토마토 뿌리에 생장을 ...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하죠.  SW 분야의 일은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요?박재일 대학에서는 수학과 물리학, 기계공학과 관련한 공부를 해서 하드웨어에 익숙했어요. 이후 대학원에 진학해서 3차원 데이터를 다루는 SW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고, SW는 해결 방법을 떠올리면 바로 코드로 구현해 실험해볼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활약할 잠재성을 확인한 구글은 알파폴드2를 통해 정밀도와 속도를 크게 높이면서 생명공학과 의학 분야에 큰 혁신을 가져올 것 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제13, 14차 CASP 대회에서 자문위원과 평가위원을 맡았던 필자가 알파폴드2의 정체와 그 가능성을 소개한다. 인간 몸 속에는 10만여 종의 ... ...
                            
 
                        
                        
                                            
                                                            
                                                             - 2030 6G GLOBAL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하려면 통신 기술은 한 발, 때로는 두 발 앞서서 발전해야 한다. 실제로 전 세계 과학자와 공학자는 이미 이 어려운 과제에 대한 도전을 시작했다. 아직 본격적인 5G 통신조차 시작되지 않은 2021년, 먼 미래의 일처럼 보이는 6세대(6G) 이동통신을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예측이다. 6G는 이들 서비스를 가능케 하기 위한 필수 기술이다. 최준일 KAIST 전자 및 전기공학부 교수는 “현재 출시된 VR, AR기기를 실제로 체험해보면 화면이 매끄럽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VR 고글을 쓰고 앞에서 떨어지는 물체를 잡는다면, 이를 놓치기 일쑤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마이크로보트나 나노자동차에 비하면 크기가 거대하다. 박훈철 건국대 스마트운행체공학과 교수는 “공중을 비행하는 건 땅이나 물 위를 달리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초소형항공기의 경우 앞뒤로 움직이는 추력에 더해 중력을 이겨낼 수 있는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 스마트산업단지에 딱 맞는 핵심 인력을 양성하고자 합니다.”조영태 창원대 기계공학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교수는 경남 창원에 들어설 스마트산업단지의 청사진을 그리며 맞춤 전공이 신설된 이유를 밝혔다. 정부는 2019년 창원국가산업단지와 반월시화국가산업단지를 시작으로 전국 15곳의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