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혹시 지금도 사람과 유사한 피부를 가진 로봇이 있을까? 박형순, 김택수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2020년 5월 로봇 손에 사용할 수 있는 인공피부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사람의 손바닥에 있는 피하지방층이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요인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구멍이 여러 개 뚫린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됐는지 함께 알려주세요~.저는 데니스 홍 박사님처럼 인류를 돕는 로봇을 만드는 로봇공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로봇은 재난 현장처럼 실제 사람이 들어가기에는 위험한 곳에서 사람의 목숨을 구할 수 있잖아요. 그리고 매년 로봇들이 축구 실력을 겨루는 로보컵이 열리는 데요, 2050년에는 로보컵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자기장, 초음파 등으로 제어해야 한다. 2월 18일 김민준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 기계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나노봇 제어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38/s41467-021-21322-0그동안 체액과 같은 유체에서 나노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형태가 ...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감염증(코로나19)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얻기도 했습니다. 허준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저서 ‘대학의 과거와 미래’에서 “2013년과 2014년 국내외 주요대학들이 MOOC에 대한 환상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꼈다”며 “한 학자는 MOOC로 인해 대학의 25% 정도는 문을 닫을 거라 예측했다”고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립니다. 최근 아리 네호라이 미국 워싱턴대학교 전기 및 시스템공학과 교수팀이 전염병 확산 모형의 하나인 ‘SEIR 모형’을 확장한 코로나19의 예측 모형을 개발해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SEIR 모형은 인구 집단을 감염 취약(S), 노출(E), 감염(I), 회복(R) 등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어떤 분야에 사용할 수 있을지 항상 고민하는 최준원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교수입니다. 지금은 크게 두 가지 분야에 이미지 인식 AI를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인데요, 그중 하나가 자율주행차입니다. 자율주행차는 카메라와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로 데이터를 얻습니다. ... ...
                            
 
                        
                        
                                            
                                                            
                                                             - [과학뉴스] ‘매운맛’으로 태양전지 효율 높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800여 시간이 지나도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유지했다. 친예 바오 화둥사범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는 “캡사이신은 저렴하면서도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더욱 높이겠다”라고 밝혔다 ... ...
                            
 
                        
                        
                                            
                                                            
                                                             - [과학뉴스] 수소 생산량 늘리는 따개비 닮은 촉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개발했다. 이재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구 및 환경공학부 교수와 조강우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돌에 달라붙은 따개비처럼 구멍이 숭숭 나 표면적이 넓은 3층 구조의 코발트 촉매를 개발해 수소 생산량을 13% 늘리는 기술을 확보했다고 1월 11일 밝혔다. 수소는 이산화탄소를 대신할 차세대 ... ...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거의 무한히 쌓아놓은 애플이 유리한 건 당연한 얘기다. 심현철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둔 애플이 이제는 자동차라는 플랫폼에 도전하고 있다”며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만들고 폐쇄형 플랫폼을 운영하는 것을 지향해온 애플이 개방형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소통이라는 말이 더 어울립니다.” 1월 7일 대전 자택에서 만난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기자가 건넨 첫 질문인 ‘왜 과학 대중화 활동을 하는가’에 대해 “과학은 누구에게나 어렵지만, 과학을 쉽게 설명하는 게 내 목표는 아니다”라며 이렇게 답했다. 그는 “아주 재밌는 영화를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