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교 없는 가정에서 자란 어린이가 더 관대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미국 시카고대 심리학과 진 데세티 교수팀은 캐나다, 중국, 요르단, 터키, 미국, 남아공 등 6개 나라에서 5~12세 어린이 1170명을 대상으로 이타심과 징벌의 관계에 대해 실험했다. 실험대상자의 23.9%(280명)는 기독교, 45%(510명)는 무슬림 가정에서 자랐으며, 27.6%(323명)는 종교가 없는 가정에서 자랐다 ...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파리 천문대 산하 우주연구 및 천체 물리 계측 연구소(LESIA)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러브조이 혜성(학명 C/2014 Q2)’의 대기를 분석했다. 러브조이는 작년 8월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가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혜성으로, 올해 1월 30일께 8000년 만에 태양 근처를 지나며 ...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특히 대장암과 유방암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찾았다”며 “향후 제브라피쉬와 실험쥐 등에서 이 물질이 암세포의 DNA 복구를 어떻게 방해하는지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새내기 연구자의 성장 돕는 징검다리를 꿈꾸며명 교수는 인터뷰를 하는 동안 ‘멘토’라는 단어를 자주 썼다. 그가 DNA ...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는 신경세포가 점차 사라져 뇌의 부피가 줄어든다. ... 시각화 프로그램은 지금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영상유도 수술, 가상수술 시뮬레이션 등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기술분야를 만들고 있다 ... ...
- [Knowledge] 땅에 적응한 하늘의 파충류, 익룡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새로운 종류임이 밝혀졌다. 이 익룡은 프테로닥틸루스에 비해 주둥이가 짧았고 콧등이 동그랬다. 송곳니와 같은 길고 뾰족한 앞니와 작은 크기의 어금니를 가지고 있어서 ‘두 가지 모양의 이빨’이란 뜻의 디모르포돈이란 학명이 붙었다.디모르포돈은 주둥이 모양만 프테로닥틸루스와 달랐던 것은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2년 개발)’, 쇼‘ 어 알고리듬(1994)’, 그로버가 개발한 ‘데이터 탐색 알고리듬(1996년)’ 등이 전부다. 이 중 도이치-조사 알고리듬과 데이터 탐색 알고리듬은 기존 컴퓨터로도 빠른 시간 안에 풀 수 있는 알고리듬이 존재한다. P와 NP 중 P에 속하는 문제다.해밀턴 경로 문제4개의 도시가 있다. 갈 수 ... ...
- 예술가가 우주를 보는 방법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위치한 웨스트필드 쇼핑센터 앞에는 높이 2.5m, 폭 6m에 이르는 거대한 무선 충전기가 등장했다. 안에는 감자와 사과 800개가 들어있었다. 칼렙 찰랜드의 ‘빛으로 돌아가다(Back to Light)’ 시리즈의 일환으로, 다양한 과일을 전선으로 잇고 양쪽에 아연판과 구리판을 꽂아서 전기를 흐르게 만든 ... ...
- “술˙담배 잦은 한국인, 햄˙소시지 발암위험 더 높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지적이 있다. 임종한 인하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음주나 흡연, 운동부족, 비만 등으로 이미 건강이 위험수위인 사람은 가공육을 조금만 많이 먹어도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이런 주장에는 근거가 있다. 유럽에는 10개국 주민 34만7237명을 12년간 추적 조사한 자료인 ‘유럽 영양 및 암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새들의 이동경로를 이미 파악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새들의 이동경로는 대부분 일본 등 해외 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다”며 아쉬워했다.안성천에 다녀온 뒤부터는 하늘을 나는 새나, 거리를 지나다니는 고양이를 볼 때마다 예사롭지 않다. 저 녀석은 어디서 왔을까. 혹시 위치추적기를 달고 있지는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경성대의 ‘T4U’ 팀이 대상을 차지했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압전발전 모듈로, 등산지팡이와 애견목줄에 적용했다. 배종남 씨(경성대 4학년)2는 “충돌에너지로 전기를 만드는데, 이때 이용되는 충돌 방식을 기존의 면에서 점 방식으로 변경해 효율을 높였다”고 말했다(수상작은 위쪽 표 ... ...
이전7757767777787797807817827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