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램프
스탠드
비탈길
경사면
배면
등고자비
자비
d라이브러리
"
등
"(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
등
학교로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또 영화 ‘트랜스포머’
등
을 보여주며 기계공학의 설계 분야, 제어 분야, 열유체 분야
등
다양한 분야를 설명했다. “시간 관계상 마지막 영상은 안보고 넘어갈게요”라는 이 씨의 말에 학생들이 한 목소리로 “봐야 해요”라고 외칠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마지막으로 정신여고가 모교인 ... ...
실험실에 찾아온 크리스마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출현했다. 2009년 미국 재료연구학회에서 주최한 ‘예술로서의 과학(Science as Art)’에서 2
등
을 수상한 작품.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캠퍼스(UIUC)항공우주공학과의 아담 스틸 연구원이 초소수성 나노재료를 찍은 사진에 크리스 크링글 연구원이 예쁘게 색을 칠했다.➌ 꽃보다 세포세상 ... ...
물대포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골절은 물론이고 귀에 직사로 맞았을 때는 전정기관에 이상이 생겨 균형감각
등
에 장기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물대포를 맞고 넘어질 때 생기는 2차 사고도 문제인데요. 보통 도로 위나 복잡한 도심지에서 시위가 이뤄지므로 주변에 딱딱하고 날카로운 물체와 부딪혀 큰 부상을 입을 수 ... ...
[Life & Tech] 우리 결혼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물질을 두 물체 사이에 흘려 넣습니다. 은반지를 잇는 데 쓰는 땜질용 은은 순은에 아연
등
을 섞어서 만들어요. 순은은 녹는점이 961℃인 데 비해 땜질용 은은 700~800℃로 낮지요. 애써 만든 은반지를 녹이지 않으면서도 끝 부분만 살짝 이을 수 있습니다. 공방 한 구석에서 무언가를 발견한 소녀가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개발 중입니다. 서민석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학예연구사는 족두리풀
등
20여 종의 식물에서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해, 이 안에서 곤충을 죽이고 곰팡이를 제어하면서 인체나 문화재에는 해가 없는 물질을 찾았습니다. 올해 10월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한 ‘2015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10 ... ...
이탈리아 요리사 ‘ 피자나 고르곤졸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장소들은 완벽히 분리되어 있어요. 주방에 딱 한 번만 들어가 보고 주방과 연결된 전
등
스위치를 알아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미션2 깨진 접시의 짝 찾기퍼즐탐정답게 주방의 스위치를 알아낸 썰렁홈즈는 불을 켜고 주방으로 갔다. 그런데 이게 웬일! 주방은 깨진 접시가 널려 있어서 그야말로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일이 없지요. 이렇게 생태학에서 비슷한 종이 같은 지역에 살면서도 시간이나 공간, 자원
등
을 서로 다르게 활용해서 살아가는 방법을 ‘니치(niche)전략’이라고 해요.그런데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자연에서 두 종이 공존하는 방법에 문제가 생겼어요.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두 종이 활동하는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있다면 1과 -1이 골고루 섞여 있지 않은 것이다. 부분 수열을 결정하는 수n은 3이나 1000
등
어떤 수도 될 수 있다.그런데 타오 교수에 의하면 1과 -1이 골고루 섞여 있는 건 불가능하다. 즉 1과 -1을 어떻게 늘어놓아도 적당히 n을 잘 골라서 n의 배수번째 수들을 더해가다 보면 그 부분합과 0 사이의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구석에 ‘NJ 52-10-27’이라고 쓰여 있는 이것은 ‘도엽번호’라고 불러요. 지도의 주민
등
록번호와 같은 것이지요. 도엽번호에 담긴 알파벳과 숫자는 각각 어떤 뜻을 담고 있을까요? 이런 방법으로 지표면을 나누면 빠지는 곳이나 겹치는 곳이 없도록 분할할 수 있습니다. 분할된 구역과 도엽번호가 ... ...
#캣스타그램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개도 그렇습니다!).인간은 아기의 특성, 즉 둥근 머리와 작은 이목구비, 통통한 팔다리
등
에 귀여움을 느끼도록 진화했습니다. 그래야 아기를 보호하고 종을 보전할 수 있을 테니까요. 이것이 다른 동물의 새끼에게도 귀여움을 느끼도록 이어진 것이죠. 그러나 사실 고양이는 다른 동물을 사냥해서 ... ...
이전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