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할 만큼 중요하다. Interview 오병하 단장한계를 깨는 열혈 커플매니저“생체분자는 눈에
안
보일 정도로 작지만 저마다 천생연분이 있습니다.”오병하 단장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생체분자의 짝을 찾아주는 일에 푹 빠졌다.단백질의 모양을 밝혀내면 어떤 단백질들이 짝이 될지 추측할 수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원자의 구성요소인 양성자가 신경전달물질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보통 동물은 배설을 하기 위해 평균 50초에 한번씩 장 근육이 수축돼야 한다. 이때 양성자가 장 세포와 주변 근육 세포 사이에서 신경전달물질처럼 매개 역할을 한다고 미국 유타대 뇌과학연구소 에릭 조르젠슨 교 ... ...
죽은 쥐 심장 되살렸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테일러 교수는 “합성물질을 몸
안
에 이식하는 것보다 자신의 세포를 병든 심장에 이식하는 것이 부작용이 적다”며 “10년 뒤면 쥐 심장 재생 기술이 인간에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콩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그는 “아시아바퀴가 밭에서는 유용하지만 집
안
으로 들어오면 문제라 해충을 없애는 데 바로 도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농약 대신 해충을 없애는 데 바퀴를 이용하려면 다양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연결하고, B는 펌프 및 수은압력계에 연결한다 결정형을 나타내기 위해 나우만이 고
안
한 기호 홍적세에 중국 일본 등 매머드 분포 범위의 남쪽에 접하는 온대 북부지역에 서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거상(化石巨象)1927~ 미국의 생화학자 플로리다 대학, 미시간 대학 졸업 후 1957년 미국립보건연구원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는 금세기 말 기온이 최대 6.4℃ 올라갈 거란 비극적인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안
순일 교수는“대기 중 온실기체의 농도가 계속 높아지면 지구의 기후가 밀란코비치주기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지구의 기후를 조절해온 자연 주기가 힘을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다음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소자 크기를 축소해 집적도(단위면적당 트랜지스터의 개수)를 높이며 발전해왔다. 칩
안
에 트랜지스터를 더 많이 집적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크기를 작게 만들면 전자의 이동 통로가 짧아져 전자의 이동시간이 빨라지고 그만큼 연산 속도도 빨라진다.트랜지스터가 발명된 1947년 이후의 역사는 집적의 ... ...
노벨문학상 수상자 암 치료한 차가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수 있다. 보통 나무줄기에 달려 있는 말굽 모양의 버섯을 줄기에 나란하게 자르면
안
쪽 위에서 바깥쪽 아래까지 물결이 퍼져 나간 것 같은 나이테가 드러난다. 나이테 하나는 ‘관공층’(管孔層)이라 불리는데, 대개 한해에 한 층씩 생긴다. 관공(管孔)은 버섯의 아랫면에 보이는 미세한 구멍이다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찍은 사진을 수천 장 모아 인체 내부를 3차원으로 재구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몸
안
의 구석구석을 잘라보듯 환자를 진료할 수 있다.서울대 의대 김세형 교수는 “병원 현장에 3차원 영상장비가 도입된 뒤 진료가 쉽고 정확해졌다”고 말하면서 “대장을 2차원으로 촬영하면 대장이 서로 겹쳐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보낸 생쥐로 재미있는 연구를 해 논문이 나온 것을 보면 마음이 뿌듯하지요.”그동
안
의 연구결과가 축적되면서 변이 생쥐를 토대로 역할이 규명된 유전자들 사이의 관계가 하나둘 밝혀지고 있다. 그 결과 시상과 대뇌피질을 연결하는 신경망 회로가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앞으로 연구가 축적돼 ... ...
이전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