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d라이브러리
"
면역
"(으)로 총 1,129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12
단백질은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대사과정에서 촉매작용을 한다. 또 운동과 신경작용,
면역
그리고 광합성과 물질수송 등 모든 생명현상을 가능케 한다.게놈프로젝트는 한 생물종 속에 들어있는 게놈의 염기서열을 밝히는 작업이다. 그러나 염기서열을 밝힌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각 유전자의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09
복제돼지의 이름을 이종이식(Xenotransplantation)에서 따 ‘제나’(Xena)라고 명명한 이유도,
면역
거부반응이 없는 형질전환 돼지를 이용해 인간에 대한 장기이식이 무난히 이뤄지기를 바라는 기대감에서다.그러나 난치병 치료를 위해 수행된 두가지 형태의 실험은 모두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논란을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8
UV-A와 B만으로도 피부암을 일으킬 정도다. 자외선은 유전물질인 DNA를 파괴시키거나 몸의
면역
체계를 혼란시킨다. 이 과정에서 암 발생과 연관된 유전자가 작동돼 피부암이 발생한다고 알려졌다.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또하나의 신체부위는 눈이다. 눈은 빛의 양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07
게놈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을 비롯한 여러 생물의 유전정보가 속속 밝혀지면서 과학자들은 새로운 딜레마에 빠졌다.별다른 쓸모가 없어 보이는 DNA가 게놈의 대부분 ... 것이다. 게다가 이 막단백질은 산모의 항체가 태아를 이물질로 인식해 공격하는 것을 막는
면역
억제력도 가지고 있다 ... ...
대머리
과학동아
l
200007
이상으로 발생하는 원형탈모증과는 다른 점이다. 한마디로 원형탈모증은 인체의
면역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머리카락 세포를 외부에서 침입한 바이러스로 판단해 공격해서 생기는 것으로 대머리와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대개 남자의 경우 양쪽 이마 끝에서 탈모가 발생하기 시작해 ... ...
'달밤에 체조' 병을 키운다
과학동아
l
200006
시킨 쥐가 운동을 하지 않은 쥐보다 3-4일 정도 빨리 감염에서 회복됐다. 스트레스로 인해
면역
력이 감퇴할 경우 운동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간접적인 증거였다.좀더 직접적인 증거는 뇌의 단백질과 호르몬 양에서 드러났다. 먼저 운동을 시킨 쥐에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뇌 ... ...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이로메드
과학동아
l
200005
시작했다.당시 그의 문제의식은 한국인의 경우 서구인에 비해 에이즈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력이 비교적 강한 이유를 밝히는데 있었다(실제로 그는 1997년부터 한국인 환자에게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형질의 에이즈 바이러스를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계속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하지만 환자로부터 ... ...
동물병원 24시
과학동아
l
200005
생성에는 별 효과가 없다. 그래서 추가 접종을 통해 어미가 준
면역
력이 없어질 때 자체
면역
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18주 이후에는 1년마다 한번씩 접종하면 된다.기생충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먹는 약으로 해결한다. 보통 생후 2-3주에 1차 구충을 하고, 감염 정도에 따라 4-12주 간격으로 해준다 ... ...
돼지 복제 성공으로 장기이식 길 열려
과학동아
l
200004
하지 않고 굳이 복제돼지를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돼지 조직을 사람에게 이식하면
면역
시스템이 가동돼 즉각적인 거부반응이 일어난다. 과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돼지의 특정 유전자를 제거해 인체에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형질전환돼지’를 만들고 있다. 만일 형질전환돼지를 ... ...
선과 악을 넘나드는 두 얼굴의 산소
과학동아
l
200004
를 완수하는 셈이다. 초과산화물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다른 라디칼들도 비슷한 방법으로
면역
효과를 나타낸다.또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초과산화물과 과산화수소(H₂O₂)가 신호전달 물질의 역할도 한다. 이런 활성 산소들은 단백질의 산화 또는 환원에 관여함으로써 단백질의 특성을 변화시키기도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