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d라이브러리
"
쓰기
"(으)로 총 889건 검색되었습니다.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07
개발하는데 도구가 되는 저작도구(authoring tool)가 많이 나와야 합니다. 교사들이
쓰기
에 편리한 저작도구가 개발된다면, 교사들은 이를 이용해 자신의 학생들을 가르칠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수 있을 겁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학과 전산학을 함께 공부한 전문가집단이 많이 나와야 합니다. 또 시중에 ... ...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07
들어가는데 이것도 문제다.예컨대 아이스크림의 색깔을 내기 위해 색소첨가제를
쓰기
도 한다. 이것도 지금은 규제가 심해지고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져 전혀 독성이나 해가 없는 것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다. 되도록 천연과즙을 넣고 착색제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메이커측의 주장이다 ... ...
2. 교사·학생에 친근한 도구로 인식
과학동아
l
199107
교사들의 컴퓨터에 대한 인식 변화에서도 읽을 수 있다. 컴퓨터 담당교사들이 컴퓨터를
쓰기
자료분석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로 보는 비율은 1985년 19%에서 1989년에는 31%로 증가했다. 이 비율은 같은 기간 고등학교 컴퓨터 담당 교사의 경우 32%에서 49%로 증가하여 컴퓨터를 도구로 보는 비율이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06
박사학위를 획득하고 연구생활에 돌입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과학소설을
쓰기
시작한다. 1980년에 발표된 대작 '타임 스케이프'(Time Scape)는 그의 최고 걸작이라 할 수 있다. 과학자 작가들의 등장영국인 찰스 셰필드(Charles Sheffield) 역시 새로운 세대의 전형적 인물 중 한사람인데 케임브리지대학에서 ... ...
영국에 무공해세제 유해논쟁
과학동아
l
199106
그러나 세정력은 뛰어나 보조제다. 페놀오염파동이후 전국적으로 '합성세제 샴푸 안
쓰기
운동'이 전개되고 있는 요즘 지구 저편의 영국에서는 때아닌 무공해세제 유해논쟁이 번져 화제가 되고있다.논쟁의 방아쇠를 당긴 것은 '세제 속의 오염물질(Pollutants in Cleaning Agents)'이란 제목이 붙은 ... ...
2 통신공간을 통해 맛보는 새로운 세상
과학동아
l
199106
(여러분은 어느덧 통신공간이라는 새로운 세계에 첫발을 내딛은 셈입니다. 우선 편지
쓰기
부터 배워서 잘 들어왔다고 저에게 소식을 보내주세요. 그럼 저는 무척 기뻐할 겁니다. 그리고 반갑게 환영한다는 답장을 해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의 ID는 theus 90입니다. prometheus라는 신의 뒷음절들입니다. ... ...
실개천이「끙끙끙」흐른다
과학동아
l
199105
이때 물은 분해를 촉진한다. 옛 조상들은 씻을 때 녹두나 팥을 갈아 이용했고 밀가루를
쓰기
도 했다.조선 말에 이르러 나라의 문호를 개방하면서 서양문물이 쏟아져 들어왔다. 이때 비누와 양잿물도 함께 들어왔다. 비누는 기름과 가성소다(양잿물)를 섞어 끓인 것으로 거품이 나면서 때를 ... ...
1. 액정화면 내장배터리 칩세트
과학동아
l
199105
표준으로 정착되고 있다. 단지 컬러 LCD의 가격이 5백만원 이상이어서 컬러모니터를
쓰기
어렵다는 흠이 있다.반도체칩노트북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반도체칩의 수가 별로 많지 않다. 몇개 또는 수십개 칩의 기능을 한데 묶은 칩세트(chip set)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80년대 중반 AT기종이 처음 ... ...
2001년 5월1일의 일기
과학동아
l
199105
귀를 기울이기엔 처한 상황이 너무 절박했다. 전국 각지의 하천 호숫물은 공업용수로
쓰기
에도 부적당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 와중에도 산업체에선 공업용수가 무엇보다 먼저 확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이 수출을 해야 외화를 벌어들이고 그래야 외국의 생수도 사먹을 수 있다는게 기업들의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03
물이 말랐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살아남은 화성인은 극관에만 남아있는 물을 끌어다
쓰기
위해서 관개용 운하를 파놓았다. 운하의 선이 자연적으로 생기기에는 너무 직선이다. 또 화성 표면 일부의 색이 여름에는 어두운 색깔로 변하는데, 이것은 식물이 자라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소련의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