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d라이브러리
"
쓰기
"(으)로 총 88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수문자처리와 모양내기
과학동아
l
199010
F5〉 전각기호〈Shift+F6〉 전각 원문자〈Shift+F7〉 반각 그리스문자〈Shift+F8〉 반각 풀어
쓰기
〈Shift+F9〉 한글 3벌식〈Shift+F10〉 한글 고어이것은 한글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배열이며, 필요에 따라 바꿀수도 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① 〈Alt+F2〉키를 눌러서 메뉴를 통해 필요한 자판을 선택한다.② ... ...
거북
과학동아
l
199010
이들을 뒤집어 놓는다. 알은 알대로 줍고 되뒤집지 못해 죽은 거북의 고기는 식용으로
쓰기
위해서다. 또 등갑은 여러가지 공예품을 만드는데 활용하고 있다. 일석삼조인 셈이다.거북의 번식기는 3~6월 경이다. 산란은 해안의 모래밭에다 한다. 대개는 밤중에 해안으로 상륙하는데 수륙양용전차 처럼 ... ...
사용자를 위해 봉사하는 인간공학
과학동아
l
199009
점점 높아지고 있고 또 제품을 선택할 때에도 건강에 해가 되지 않는가, 안락한가, 또는
쓰기
에 편한가를 생각하는 소비자가 점차로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그렇다면 도대체 인간공학이란 무엇인가. 예를 들어 새로운 승용차를 개발할 때 엔지니어들의 기본적인 관심은 ... ...
아르헨티나
과학동아
l
199008
나폴레옹의 스페인 점령을 틈타 독립을 쟁취했다. 독립(1816년)을 선언한 뒤 스페인어를
쓰기
싫었기 때문에 라플라타 대신 아르헨티나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브라질 칠레와 함께 남미의 ABC국 중 하나로 꼽히는 아르헨티나의 원주민은 인디오다. 하지만 지금은 북부지방에 2만~3만명의 인디오가 살고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08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한글을 전혀 읽거나 쓰지 못하는 문맹자가 인구의 3%, 읽고
쓰기
는 하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기능적 문맹자가 20%에 이르고 있다는 한 조사 자료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매일같이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속에서 역설적으로 인간은 왜소함과 초라함을 느끼게 된다. ... ...
한글 사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008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은 약간 뜻밖이다. 이에대해 이찬진씨는 "기존 워드프로세서들이
쓰기
불편한데다 외국 소프트웨어들이 범람하는 것을 보고 값싸고 편리한 워드프로세서를 개발하게 됐다며" 개발 동기를 밝히고 있다.한글의 가장 큰 장점은 국내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돌아간다는 ... ...
잃어버린 구석기 역사를 복원한다
과학동아
l
199008
대한 보고문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이 보고서를 쓴 나오라는 동관진유적의 보고문을
쓰기
이전인 1931년에 벌써 '일본원인'(日本原人) 이라고 불려지는 사람의 허리등뼈를 찾아 보고했다. 또한 그는 도쿠나가 교수와 함께 이 당시까지만 해도 구석기연구의 표준유적이라고 할수 있었던 만주 ... ...
컴퓨터 과학자들의 새로운 관심 「한글공학」
과학동아
l
199008
위한 하나의 디딤돌이므로 이에 관한 연구는 계속 돼야한다.한글 문장의 맞춤법, 띄어
쓰기
교정과 문장구성법 및 스타일 검사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와 인공지능연구센터,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중심으로 실용화 단계에 들어가 있다. 이에 관한 소프트웨어는 누구나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07
같다. 고려인들은 특수한 현실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 청동활자를 만들어
쓰기
는 했지만, 그 인쇄본은 중국의 송판본(宋板本)이나 고려 목판본의 아름다움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고 인쇄 능률도 좋지 않았다. 절박한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었지만, 목판에 대한 미련은 버릴 수 없었던 ... ...
대덕시대 들어선 KAIST
과학동아
l
199004
이번 학기에는 강의 위주로 진행되고 내년부터 실험 및 연구기능이 본격화 된다.과학기술원(KAIST)의 대덕시대가 개막됐다. 한국 과학기술 인력양성기관의 대명사 ... 그것 때문에 국회에서 법개정에 따른 시달림을 받기 싫어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란 명칭을 그대로
쓰기
로 했다고 한다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