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달리 관객과 시청자의 평가로만 우승자를 가리기 때문에 관객과 시청자가 뛰어난 래퍼를 구분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춰야 한다. 화려한 비트와 조명뿐 아니라 래퍼가 만든 라임에 주목해 ‘위대한 관객’이 돼보자.랩 가사를 추천해 주는 딥비트랩 가사를 쓰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라임을 맞추기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기술의 집합체, 휴대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드론인 ‘드론 파이터(Drone Fighter)’를 소개할게요. 드론은 회전날개 숫자에 따라 구분하는데, 쿼드콥터는 회전날개가 4개인 드론이랍니다.드론 파이터는 모터, 40여 개의 LED,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기, 조종기 등으로 구성돼 있어요. HD 카메라도 부착돼 있는데, 화질이 1080 x 720 픽셀로 선명해요.드론 ...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현재의 중3 학생들부터 7개 공통 과목을 배우게 된다는 사실, 알고 계시죠? 문·이과의 구분이 사라지고, 문과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도 ‘통합과학’이나 물리1, 화학1, 생명과학1, 지구과학1 중 한 과목을 필수로 들어야 합니다. 디라이브러리에서는 통합과학의 주요 단원과 키워드를 중심으로 ... ...
- 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30배나 정밀한 지도가 만들어졌어요. 지진 피해 정도가 심각한 곳과 양호한 곳을 구분해서 보여 주기 때문에 신속하게 복구가 이뤄지는 데 큰 도움이 됐지요.네팔에 드론을 날린 건 놀랍게도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이 팀을 이룬 ‘엔젤스윙’이에요. 2015년 네팔 대지진 당시 서울대학교에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 교수는 “후속 연구로 상염색체 STR이나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해 민족을 구분하는 예측력을 높여가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최근에는 놀랍게도 얼굴의 생김새까지도 추정할 수 있는데요.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위치한 에라스무스대 맨프레드 카이저 교수는 5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얼굴의 ... ...
- [과학뉴스] 판다의 털이 흰색과 검은색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흰색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판다의 몸 색깔은 다른 포유류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특징이에요.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와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롱비치 캠퍼스 공동 연구팀은 판다의 털 색깔에 대한 비밀을 밝혀냈어요.연구팀은 판다의 몸 색깔을 부위별로 나눠 각 부분을 19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전통 도자기 유약은 크게 고려시대의 청자와 조선시대의 백자 유약 두 종류로 구분된다. 하지만 고려청자의 비취빛과 조선백자의 우윳빛이 도는 백색은 현대 기술로 재현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황 교수가 그 이유를 기후와 식생 변화 때문이라고 설명하자 의아했다. 도자기의 소지나 유약을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정확히 구분해 내야 해요. 그래서 국립생물자원관 박태서 연구사는 기존에 잘못 구분된 종들을 다시 정리하고, 동시에 새로운 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새로 분류했답니다.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는 1840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처음 발견된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후각수용체의 조합을 통해 맡을 수 있는 냄새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사람이 구분하는 냄새의 수는 약 1만 가지다.맥건 교수는 후각수용체의 수보다 오히려 각 후각신경구에 있는 신경세포의 개수를 비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2014년 ‘신경해부학 저널(doi:10.3389/fnana.2014.00023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확실한 효과 및 안전성을 동일한 임상 상황에서 검증하는 핵심 시험인 3상 시험으로 구분된다.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백신 개발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와 같이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면, 백신은 위와 같은 단계를 모두 거쳐야 실제 접종에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단계를 거친 뒤에도 백신의 부작용을 항상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