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가속 이온 빔을 통해 이뤄졌고, 0.1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수준의 물체를
구분
할 수 있는 성능(분해능)을 갖추고 있었다.문 교수는 “현재는 조직을 열로 태울 때 나오는 연기를 빨아들여 질량분석을 하고 있다”며 “이 방식은 조직이 차지하는 공간정보도 알 수 없고 원래의 물질이 타면서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휘거나 접어도 문제 없는 하드웨어를 만들고 필기체 글씨를
구분
하게 만드는 데 성공해 ‘에이씨에스 나노’ 3월 28일자에 공개했다.현재 전자기기에 쓰이는 회로는 0과 1 두 가지 신호로 작동하는 디지털 방식인 데 비해 우리 뇌의 신경세포는 연속적인 값을 이용하는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사촌 이상의 먼 친척으로 분류했다. 현재까지도 엉덩이뼈를 바탕으로 하는 실리 교수의
구분
법이 이용되고 있다.수각류 공룡은 조반류와 형제일까그런데 최근 이 구도에 균열이 생겼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런던자연사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약 2억45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전까지의 공룡의 시대 중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어떻게 될까. 문 센터장은 “기계와 새의 비행은 분명 차이가 있는데 현재로서는 이를
구분
하는 게 가장 어렵다”며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이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많은 종류의 새가 나는 패턴을 모두 입력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정확한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얇게 잘라 편광렌즈로 본모습. 공룡은 이빨이 자라는 속도가 매일 달라 나이테처럼
구분
되는 선이 생긴다. 이를 ‘폰 에브너 증가선’이라 부른다. 공룡 알이 다른 알보다 작은 이유는?공룡 알의 또 다른 특징은 큰 덩치에 비해 알 크기가 매우 작다는 거예요. 일반적으로 몸집이 커다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지구방위총괄국은 지구에 다가오는 물체 중 지구에 위협이 되는 것을
구분
하고,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면 이를 피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게 주 임무예요.현재까지 논의되고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혜성을 향해 로켓을 발사하는 거예요. 그럼 로켓과 충돌한 혜성이 폭파되거나 궤도가 바뀌어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클레임버스터는 더욱 강력해질 일만 남았습니다. 루머와 정보, 전파 양상 분석해
구분
클레임버스터가 문장의 요소를 하나하나 뜯어서 확인한다면, 가짜 뉴스가 갖춘 공통의 특성을 토대로 루머를 걸러내는 인공지능도 있습니다.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차미영 교수와 권세정 연구원, 정교민 서울대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심지어 서양에서는 아직 존재하지도 않는!) 옷을 입고 있다고 해도 문명인과 원주민을
구분
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반 세기의 시간 만으로는 이들 모두를 문명인으로 만들 수 없었다. 이들 중 몇 명은 끝까지 문명을 이해하지 못하고 특이점으로 건너 뛸지도 모른다.저들 중 가장 행복해보이는 건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나갔죠.이후에는 방사형 무늬를 크게 세 구역으로 나눠 바깥 원과 중간 원을 더 뚜렷하게
구분
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가장 안쪽 원에는 고운 모래들을 모아서 편평하게 만들었습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원의 중심을 자유롭게 헤엄치면서 항문지느러미만을 이용해서 비교적 얕고 자유로운 형태의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칠 때보다 강하게 칠 때 고주파수 배음이 크게 나타났다. 게다가 이 차이는 사람이 귀로
구분
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피아니스트이자 의학박사인 일본 조치대 이공학부 후루야 신이치 교수는 저서 ‘피아니스트의 뇌’에서 “감정들이 솟구치는 것은 곡 자체가 뛰어난 명곡이어서만이 아니라 연주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