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알록달록, 겨울을 기다리는 단풍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또 개머루와 팥배나무, 마가목은 매끈하고 큰 잎을 달고 있기 때문에 단풍나무와 쉽게 구분되지요.노란색 단풍이 드는 나무는 잎의 모양이 부채처럼 생긴 은행나무가 대표적이지요. 은행나무는 고생대부터 등장한 ‘살아 있는 화석’으로, 도시에서도 쉽게 볼 수 있어요.은행나무의 샛노란색은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형태를 궁상문, 와상문, 제상문 이렇게 3가지 기본 패턴으로 나누고, 이를 이용해 지문을 구분하는 방법을 개발했답니다.1980년대에 들어 컴퓨터가 발달하면서 지문인식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했어요. 수많은 사람들의 지문 정보를 저장했고, 이 정보를 이용해 범인을 잡는 데 이용하기 시작했지요. 또 ... ...
- [요리교실] 대하로 즐기는 스페인 요리 '대하 까수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해 뼈 건강과 피로 회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자연산과 양식을 구분할 땐 뿔이나 수염을 보면 된다. 뿔이 머리보다 밖으로 길게 나오고, 수염의 길이가 자신의 몸보다 두 배 이상 길면 자연산 대하다. 반면 뿔이나 수염이 비교적 짧고 꼬리가 분홍색을 띠면 양식이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아쿠아플라넷63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위해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라고 해요.아쿠아리스트는 수달의 젖꼭지와 생식기로 암수를 구분하는 방법도 알려주었어요. 또 수달 꼬리 밑에 있는 사향샘이라는 기관 때문에 수족관 안의 냄새가 지독하다는 비밀도 폭로했답니다. 다양한 수중생물 친구들이 모여 사는 세상 수달 행성을 지나 한 층을 ... ...
- [한자 과학풀이] 면역(免疫)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등 주로 질병과 관련된 글자에 쓰인답니다.반면 옛날에는 질병의 정도에 따라 두 글자를 구분해서 썼어요. ‘질(疾)’은 사람의 몸에 화살(矢‧시)이 박힌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로, 일반적인 병을 나타낼 때 썼지요.‘병(病)’은 질병 중에서도 중증일 정도로 심한 경우에 사용됐어요. 병들어 누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예를 들어 달콤한 사이다는 시지 않지만 산성이지요.따라서 산성과 염기성 용액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산염기 지시약이 필요해요. 산염기 지시약에는 용액이 띠는 성질에 따라 다른 색을 띠는 물질이 들어 있어요.산염기 지시약의 종류는 다양해요. 그 중에서도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자주색 ... ...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전기 에너지를 전달해야 할 때 주로 사용된답니다.회로를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어요. 직렬 회로는 회로에 들어가는 부품을 일렬로 나열해서 만들어요. 하나의 건전지 뒤에 다른 건전지를 줄줄이 연결한 것이 대표적이죠. 한편 병렬 회로는 여러 개의 부품을 나란히 배열하는 것을 ... ...
- Part 2. 자동차, 스스로 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영상으로 찍은 뒤, 미리 저장해놓은 여러 물체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물체인지를 구분하지요. 마지막으로 GPS는 지구 밖에 있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자동차의 위치와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 준답니다.[▲레이더가 주변 사물을 빠르게 인식해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레이더와 ... ...
- Part 3. 인간이 원하는 대로 개성있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있지.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흰 몰티즈는 사람이 만든 종?현재 개는 700~800여 종으로 구분돼요. 포유류 중 가장 많은 종을 가진 동물이지요. 그 이유는 300여 년 전부터 사람들이 좋아하는 특정 형질이 나타나도록 교배시켜 왔기 때문이랍니다.대표적인 종은 ‘휘핏’이에요. 100여 년 전 토끼를 잡는 ...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똑똑한 새끼 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각인’이라고 부르지요. 연구팀은 새끼 오리의 각인 효과를 이용해 오리가 두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했어요.우선 갓 태어난 새끼 오리들을 두 그룹으로 나눴어요. 그리고 한 그룹에겐 같은 모양의 물체 한 쌍을, 다른 그룹에겐 다른 모양의 물체 한 쌍을 보여 줬답니다. 이후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