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결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진거죠. 도브시 교수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만들어 이 둘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이 새로운 방법은 앞으로 더욱 정교한 복원 작업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혁명을 일으켰다.사울레스의 조력자와 시대를 앞선 천재 물리학자이번 노벨상의 업적 구분을 따져 보면 사울레스가 절반을, 코스털리츠와 홀데인이 각각 4분의 1씩을 인정받았다. 코스털리츠는 사울레스와 함께 앞서 소개한 2차원 위상 상전이 이론을 만든 사람이다. 소용돌이 생성을 매개로 한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DNA 검사를 하기 난감한 상황 중 하나다. 신원 확인을 하려면 먼저 한 명 한 명 개체를 구분해야 하는데 모든 뼈에 대해 DNA 검사를 하자면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 않다. 어른은 206개의 뼈와 32개의 치아를 갖고 있다. 유해가 두 구만 섞여 있어도 최소 500번 이상의 DNA 검사를 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부르자는 거예요. 인류세는 아직 공식적인 분류가 아니라서 정확한 연도 구분은 없어요. 산업혁명이 일어나며 인류가 지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 18세기부터라는 의견도 있고, 원자폭탄 실험이 있었던 20세기 중반부터 인류세라는 의견도 있지요. 인류세의 지표로는 땅 속에 묻힌 플라스틱, 살충제 ... ...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인류세’라고 부르자는 거예요.인류세는 아직 공식적인 분류가 아니라서 정확한 연도 구분은 없어요. 산업혁명이 일어나며 인류가 지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 18세기부터라는 의견도 있고, 원자폭탄 실험이 있었던 20세기 중반부터 인류세라는 의견도 있지요. 인류세의 지표로는 땅 속에 묻힌 ... ...
- [헷갈린 과학] 라쿤 VS 너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너구리와 겉모습이 닮아 우리말 이름에도 너구리가 들어가지만, 라쿤과 너구리는 쉽게 구분할 수 있답니다. 꼬리에 줄무늬가 있으면 라쿤, 줄무늬가 없으면 너구리지요.라쿤의 몸길이는 60~110cm 정도이며 견과류, 옥수수, 물고기, 작은 설치류 등 여러 가지 먹이를 다양하게 먹어요. 환경에 대한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또 괄호를 이용해 하나의 명령을 다른 명령과 구분하는 C언어와 달리,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덩어리를 나누어요. 이러면 코드만 봐도 명령 덩어리가 몇 개인지 바로 알 수 있겠죠? 파이썬은 아직 C언어보다 사용하는 곳은 적지만,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널리 ... ...
-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려면 자료를 수집해 분류, 분석해야 합니다. 자료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은 통계에 꼭 필요합니다.전체 자료가 너무 많아 수로 나타내는 것이 번거로울 때는 전체에 대한 비율로 자료를 나타내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에 대한 부분의 양의 비율을 구하고, 이것을 그래프로 ... ...
- [과학뉴스] 동물 박제 로봇으로 밀렵꾼 체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법망을 교묘히 피해 동물을 무자비하게 사냥하는 밀렵꾼을 잡을 수 있는 기발한 아이디어가 있다. 동물처럼 잠자코 있다가 밀렵꾼이 나타나면 체포하는 것이다. 사람대신 로봇이, 심지 ... 재빨리 알리고, 곧 순찰차가 출동한다. 여러분은 과연 동물로봇과 실제 동물을 구분할 수 있을까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닌지’를 기준으로 연구비를 지원할 과학자를 뽑는다.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에 대한 구분도 따로 없다. 과학자 규모가 작기 때문에 연구 과제 지원자들에 대한 심사는 해외 과학자들에게 맡긴다. 6~7명의 과학자들에게 연구 계획서를 보내고, 그들의 평가를 토대로 지원 대상을 결정한다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