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도움을 주는 물질(참당귀주정추출분말, 커큐민, 카테킨, 레스베라트롤, 설포라판 등)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김지영 서울대 수의과학연구소 연구교수는 “뇌가 발달하는 시기인 어린이나 청소년에게는 ①번 성분이, 뇌의 노화를 대비하는 청장년과 노년층은 ②, ③번 성분이 유익할 것”이라고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꾸준히 학습한 결과 지금은 긴 문장도 정확히 받아 적고, 사람마다 각자 다른 발음을 구분해낼 수 있게 됐답니다. 무인자동차에겐 눈이 가장 중요해~ 센서의 발달은 무인기기용 인공지능의 발전도 이끌었어요. 특히 무인자동차는 도로와 주변 환경을 끊임없이 주시하며 판단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번째 실험에서도 18개의 얼굴 중에서 학습한 얼굴을 86% 정확도로 골랐다.사람의 얼굴을 구분하는 것은 고도의 능력이다. 눈, 코, 입 등 생김새의 미묘한 차이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런 능력이 복잡하고 큰 뇌를 가진 영장류에게만 있으며, 진화 과정에서 획득한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받는 입장에선 중력과 관성력을 아예 구분할 수 없다는 뜻이다(중력질량과 관성질량을 구분할 수 없다는 뜻도 된다). 아인슈타인은 이 새롭고 강력한 등가원리를 바탕으로 중력을 시공간의 기하학으로 새롭게 정의했다. 중력의 근본에 대한 물음등가원리에 대한 물음은 궁극적으로 중력과 다른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등장하면서 이제는 수만 년 전 DNA도 너끈히 해독할 수 있다. mtDNA도 요즘은 보다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HVR 구간뿐만 아니라 전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추세가 바뀌고 있다.미토콘드리아의 새로운 가능성고고학에서는 전성기가 지났지만, 범죄수사에서는 mtDNA가 여전히 중요한 증거다. 다만 민족적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뼈에 남은 훼손 흔적을 통해 동물의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 나아가 훼손한 동물의 종을 구분하려는 시도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모든 노력에 힘입어 법의인류학자는 사람에 의한 손상과 동물에 의한 손상을 분간해낼 수 있다.우리나라에서 백골 상태로 발견되는 변사자의 수가 1년에 100명이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때 부모님의 말에 귀를 기울이곤 합니다. 하지만 인생에서 중요한 일과 그렇지 않은 일을 구분할 때는 스스로 본인의 흥미를 먼저 확인해봐야 합니다. 자신의 호기심에 귀를 기울여 진로를 결정하세요.”치에하노베르 교수가 인터뷰 막바지에 했던 말도 비슷했다. “(인터뷰 도중 통역을 도운 권용태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찾는 식이다.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크게 의약품, 농업용, 산업용으로 구분된다. 의약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약사법으로, 농약과 비료는 농림수산식품부에서 농약관리법과 비료관리법으로 관리를 하고 있다. 반면 산업용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을 적용해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논란이 많았다. 중국에서 넘어오는 물질과 한반도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물질을 구분하기 어려워서였다. 차 연구관은 “그동안 한반도 주변 해상에서 황사나 미세먼지의 양을 관측한 적이 거의 없었다”며 “중국에서 넘어오는 양을 파악하는 데 서해상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nerve ending)이죠. 그런데 최근 들어 이 자유신경말단이 다시 가려움 신경과 통각 신경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이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오우택 서울대 약대 교수는 “통각의 말초신경과 가려움 말초신경이 형태는 유사하지만 세포막의 구성성분이 다르다”며 “통각이 약하다고 해서 가려움을 느끼는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