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잘 볼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면 열을 발산하는 생명체와 그 외의 무생물을
구분
해낼 수도 있다. 아이아이는 이런 도구 하나 없이도 보이지 않는 나무 속 벌레의 존재를 감지하는 능력이 있다. 아이아이의 특수 무기는 가늘고 긴 가운데 손가락과 정교하게 발달한 큰 귀, 그리고 날카로운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뼈에 남은 훼손 흔적을 통해 동물의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 나아가 훼손한 동물의 종을
구분
하려는 시도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모든 노력에 힘입어 법의인류학자는 사람에 의한 손상과 동물에 의한 손상을 분간해낼 수 있다.우리나라에서 백골 상태로 발견되는 변사자의 수가 1년에 100명이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좀 태워줘(I need a ride)’와 ‘나는 당나귀 타는 걸 좋아해(I like to ride donkeys)’의 차이를
구분
해 ‘나 좀 태워줘’라는 메시지에 ‘탈 것 요청’이라는 꼬리표를 달았다.개발팀은 딥텍스트를 통해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에서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내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받는 입장에선 중력과 관성력을 아예
구분
할 수 없다는 뜻이다(중력질량과 관성질량을
구분
할 수 없다는 뜻도 된다). 아인슈타인은 이 새롭고 강력한 등가원리를 바탕으로 중력을 시공간의 기하학으로 새롭게 정의했다. 중력의 근본에 대한 물음등가원리에 대한 물음은 궁극적으로 중력과 다른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때 부모님의 말에 귀를 기울이곤 합니다. 하지만 인생에서 중요한 일과 그렇지 않은 일을
구분
할 때는 스스로 본인의 흥미를 먼저 확인해봐야 합니다. 자신의 호기심에 귀를 기울여 진로를 결정하세요.”치에하노베르 교수가 인터뷰 막바지에 했던 말도 비슷했다. “(인터뷰 도중 통역을 도운 권용태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꾸준히 학습한 결과 지금은 긴 문장도 정확히 받아 적고, 사람마다 각자 다른 발음을
구분
해낼 수 있게 됐답니다. 무인자동차에겐 눈이 가장 중요해~ 센서의 발달은 무인기기용 인공지능의 발전도 이끌었어요. 특히 무인자동차는 도로와 주변 환경을 끊임없이 주시하며 판단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 ...
PART 2. 생생 캐릭터, 탄생 현장을 가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두 분야의 차이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미래에는 애니메이션 영화와 게임을 명백히
구분
하기가 어려워질 거예요.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 등이 각광받는 것도 이 사실을 뒷받침하지요. 혼자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1인 콘텐츠 개발자도 점점 늘어날 것 같고요.지금까지 생생한 캐릭터 배우의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페이스북의 ‘따봉충’이 진화의 산물?인간을 다른 포유류와
구분
해주는 특징에는 직립보행, 불이나 도구, 언어의 사용 등 다양한 것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특징이 모두 ‘큰 뇌’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뇌는 단순히 크기만 한 것이 아니다. 우리가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nerve ending)이죠. 그런데 최근 들어 이 자유신경말단이 다시 가려움 신경과 통각 신경으로
구분
된다는 사실이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오우택 서울대 약대 교수는 “통각의 말초신경과 가려움 말초신경이 형태는 유사하지만 세포막의 구성성분이 다르다”며 “통각이 약하다고 해서 가려움을 느끼는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위상적 데이터 분석으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과 정상 아동의 뇌 영상을
구분
해냈다. 그동안은 부모나 교사가 관찰한 내용과 설문지 등의 방법에만 의존했었다.김 교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연구에 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위상적 데이터 분석을 처음으로 적용한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