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고당질식을 섭취한 ‘고당질군’, 그리고 수분을 중심으로 섭취한 ‘수분보충군’으로 구분했죠. 그리고 섭취 후 1시간과 2시간 뒤에 체성분, 근력, 혈액성분 등을 측정했습니다. 계체 후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여러 요소가 증진됐는데,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수분섭취에 따른 변화였습니다. ...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말했다. 네 가지 염기(A, G, C, T)의 배열로 이뤄진 사람의 유전체 정보는 화학반응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기계가 이 반응을 측정하면 각 염기서열 화학반응은 서로 다른 형태의 이미지로 기록되는데 한번 실행 할때마다 이 데이터 용량이 무려 1TB(테라바이트)에 이른다. 이 이미지 정보를 다시 ... ...
- [과학뉴스] “또렷하게 보려고” 눈 굴리는 갯가재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색으로 세상을 인지하는 등 사람과 다른 시각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수중에서 사물을 구분해야하는 로봇을 제작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2일자에 실렸다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런 현상을 양자화됐다고 부릅니다. 운동량이 가장 낮은 상태부터 차례로 숫자를 붙여 구분하는데, 이 숫자를 양자수라고 합니다.양자화는 힐베르트 호텔과 구조가 비슷합니다. 호텔에 자연수로 이름이 붙은 객실이 있는 것처럼, 양자역학에는 정수로 된 양자수가 있습니다. 손님이 그 방에서 묵는 ...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표층 해류와 수심 200m 아래의 심층 해류, 이렇게 두 가지로 구분돼요. 그리고 해양쓰레기 대부분은 물위에 뜨기 때문에 표층 해류를 따라 이동하지요.태평양의 경우 미주대륙 주변의 해류가 원을 그리듯 모여요. 그래서 쓰레기도 점점 이곳으로 모여 쌓이게 되는데, 그 결과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다르기 때문이다. 색상을 구별하는 원추세포는 노란색이나 초록색 계열을 민감하게 구분한다. 하지만 명암을 구별하는 간상세포는 파란색 파장의 빛에 훨씬 더 예민하다. 그래서 어두컴컴한 곳에서는 파란색 계통인 사물을 알아보기가 더 쉽다. 즉 어둡고 음침한 곳에서는 파란빛이 서린 것처럼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뼈에 남은 훼손 흔적을 통해 동물의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 나아가 훼손한 동물의 종을 구분하려는 시도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모든 노력에 힘입어 법의인류학자는 사람에 의한 손상과 동물에 의한 손상을 분간해낼 수 있다.우리나라에서 백골 상태로 발견되는 변사자의 수가 1년에 100명이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때 부모님의 말에 귀를 기울이곤 합니다. 하지만 인생에서 중요한 일과 그렇지 않은 일을 구분할 때는 스스로 본인의 흥미를 먼저 확인해봐야 합니다. 자신의 호기심에 귀를 기울여 진로를 결정하세요.”치에하노베르 교수가 인터뷰 막바지에 했던 말도 비슷했다. “(인터뷰 도중 통역을 도운 권용태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하면 될까요? 실제로 구글은 2012년 딥러닝 방식으로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고양이 사진을 구분해낼 수 있게 했어요. 먼저 고양이에 대한 정보가 없는 인공지능에 약 1000만 장의 영상을 입력했어요. 컴퓨터는 이 사진을 작은 픽셀 단위로 분석해요. 그 다음에는 사진에 나온 물체의 형태를 찾고, 영상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번째 실험에서도 18개의 얼굴 중에서 학습한 얼굴을 86% 정확도로 골랐다.사람의 얼굴을 구분하는 것은 고도의 능력이다. 눈, 코, 입 등 생김새의 미묘한 차이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런 능력이 복잡하고 큰 뇌를 가진 영장류에게만 있으며, 진화 과정에서 획득한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