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녹는 물질이에요. 원하는 색의 형광색소를 물에 녹여 색을 더해 주면 기름층과 정확히 구분할 수 있지요. 또 LED 막대 빛을 대었을 때 훨씬 눈에 띄는 빛을 볼 수 있답니다.반짝이는 램프가 움직이기까지 한다면 더 좋겠죠! 그러기 위해서는 발포제가 필요해요. 발포제를 컵에 넣으면 ‘쉬이~’ 하는 ... ...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수학동아 l2016년 05호
- 13일의 금요일이 특별한지 검증하기 전에 ‘역법’을 알아야 한다. 역법은 시간을 구분하고 날짜의 순서를 매겨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달력 보는 법이다. 주로 천체 움직임의 주기를 기준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우리나라와 미국, 유럽의 많은 국가가 태양의 운행을 기준으로 만든 태양력을 ... ...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점토판에 나열된 수를 구분할 때는 ‘,’로 나타내는데, 자연수와 소수점 사이의 자리를 구분할 때만 ‘;’을 이용한다. 이런 방법으로 구한 목성의 전체 이동 거리는 16;15°이다. 10진법으로 바꾸면 120일간 목성은 16.25°만큼 이동했다. 연구를 이끈 독일 홈보트대 고대과학사학과 오센드리버 교수는 ... ...
- [특별 인터뷰] 파워에너지 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사탐 활동이 점점 더 좋아지고요. 이제는 개구리, 매미, 귀뚜라미 소리를 듣고 종류도 구분할 수 있게 됐어요.지난 여름 집 근처 공원에서 매미우화 모습을 3시간 넘게 기다리며 지켜봤던 기억이 나네요. 정말 뿌듯하더라고요. 탈피각도 엄청 모았고요. 지사탐을 오래 하려면 주변생물에 관심을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_다시 보는 원주율과 원의 넓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원의 넓이를 구하려면 원주율이 꼭 필요합니다. 왜 원의 크기와 관계없이 지름에 대한 원주의 비인 원주율은 일정할까요? 이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원의 넓이에 대해 ... 원을 잘게 잘라 평행사변형이 직사각형이 될 때까지 한없이 잘라 붙여 원의 넓이를 구하는 구분구적법의 한 예입니다 ... ...
- [과학뉴스] “ 또 왔니?” 얼굴 기억하는 남극 갈매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특성이 나타난다는 연구는 있었지만,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극지 동물에게서 사람을 구분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 밝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연구원은 “불과 세 번 정도밖에 마주치지 않은 사람을 특별히 인식한다는 것은 높은 수준의 인지 능력”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코끼리주둥이고기의 어안 렌즈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다. 이 망막은 어두운 환경에서 빛을 잘 모으고, 특히 빨간색 빛을 증폭시켜 포식자를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준다.연구팀은 이와 유사하게 반구 모양의 작은 결정들을 이어 붙여 인공눈을 만들었다. 인공눈은 기존보다 네 배 이상 빛에 민감했다. 기술적으로 렌즈를 바꾸거나 센서의 감도를 조절하지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못해, 질질 끌리다시피 하면서 컨베이어 벨트 끝까지 가는 경우가 많다. 암컷과 수컷을 구분하는 것도 쉽지 않아 성재호 씨가 암컷을 알려주면 작업을 진행했는데, 이마저도 제대로 하지 못해 난간 끝까지 쫓아간 경우가 많았다. 일단 난소를 찾으면 가위를 이용해서 난소를 잘라내고 준비한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역의 빛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잔디를 더 선명한 녹색으로, 공을 더 뚜렷한 흰색으로 구분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가속기와 이온 추진 엔진플라스마에서 양이온이나 전자만 따로 빼내 ‘빔(beam)’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입자 가속기다. 입자 가속기는 플라스마에 전기장과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1759년 이탈리아 지질학자 지오반니 아르두이노가 처음 퇴적층을 조사해서 지질시대를 구분할 때 제1기부터 제4기까지 나눴는데, 제1기와 제2기는 중생대를 포함한 신생대 이전의 지질시대로 세분화되면서 명칭이 바뀌었다. 반면 제3기와 제4기는 여전히 신생대에 속해 있다.]인류세의 시작은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