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전북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태풍도 폭우도 수학동아 MIE를 막을 순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그런지 금방 ‘정육각형’ 이라는 답이 나왔어요. 둘레의 길이가 똑같을 때 가장
면적
이 넓은 도형은 원이지만 원은 평면을 빈틈없이 메울 수 없어요.56장의 슬라이드로 진행한 수업을 마치고 이어서 비눗방울 실험을 했어요. 실험 시간에는 영재교육원의 라은혜 선생님을 비롯해 4명의 선생님이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0m 넓이 단위. 산사태는 하나의 산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횟수가 아니라
면적
을 기준으로 센다). 매년 평균 713ha의 산지에서 크고 작은 산사태가 일어났다. 이번에 우면산에서 일어난 산사태는 15곳 이상에서 0.05~1.8ha 일어났다. 모두 더하면 약 5.7ha 규모다. 그러니까 전국적으로 이런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빗물 저장조로 옮긴 뒤 다시 깨끗한 물로 채우고 있다. 지금까지 스타시티 단지 전체
면적
에 떨어진 빗물 중 67%를 용수로 활용했다.빗물이 땅으로 흡수되도록 돕는 시설도 있다. 이승복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독일은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하수를 상수원으로 사용하다보니 가장 적극적으로 ... ...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던지는 속도도 빨라진답니다. 마지막 순간에는 원반에 회전도 걸어줘야 해요. 원반은 표
면적
이 넓어서 공기저항을 많이 받아요. 원반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한 상태로 날아가게 하려면 강한 회전이 필요하답니다.원반경기장은 포환이나 해머던지기를 하는 경기장과 비슷하게 생겼어요. 세 종목 모두 ... ...
Intro. 녹색 황금 캐는 미세조류 농장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바이오연료가 주목받고 있다. ‘3세대 바이오연료’로도 불리는 조류 바이오연료는 단위
면적
당 생산량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비율도 다른 바이오연료보다 훨씬 높다. 조류 바이오연료가 ‘녹색 황금’으로 불리는 이유다. 먼저 조류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국내 조류 바이오연료 연구 ... ...
제올라이트 촉매, 구멍 키워 효율 높였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지름이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도 안 되는 아주 작은 구멍이 무수히 뚫려 있어 표
면적
이 굉장히 넓다. 제올라이트는 화학활성이 있어 이상적인 촉매로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제올라이트 구멍보다 지름이 큰 분자들은 구멍으로 드나들기 힘들어 반응 속도가 느리다. KAIST 화학과 유룡 ... ...
브라키오사우루스 체온 사람과 비슷했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지구 역사에서 최대 육상 동물인 초식공룡의 체온은 몇 도였을까. 타임머신이 없는 한 미스터리로 남을 것 같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이 ‘사이 ...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예를 들어 거대 용각류의 긴 목과 꼬리도 몸의 표
면적
을 넓혀 열을 분산시키는 데 도움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교과서 100% 활용한 논술 대비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반응속도식,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온도, 농도, 표
면적
, 촉매)이 주요 개념이다. 이 단원은 독립적으로 출제되기 보다는 화학 평형과 연계돼 출제된다. 또 생물 단원에서 효소의 작용과 관련이 깊으므로 통합교과적으로 출제될 수 있다. 융합형 과학 교과서는 교과서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낳고 있다.같은 넓이 땅에서 콩의 130배 생산“이런 작물에 비하면 미세조류는 단위
면적
당 생산량이 훨씬 많고 농업에 영향을 주지도 않습니다. 또 이산화탄소를 능동적으로 소모할 수 있지요.”오 본부장의 말처럼 미세조류의 연료 생산량은 1만m2당 5만 8700L로 446L에 불과한 콩의 130배에 이른다. 또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즉 식물플랑크톤은 작아야 빛이 잘 드는 표층에 오래 머물 수 있다. 또 부피에 비해 표
면적
의 비가 클수록 영양염류를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크기가 작으면 빨리 번식해서 숫자를 늘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제 답이 나왔다. 식물플랑크톤은 작아야 생존에 유리하다. 아주 작은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