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85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 수치를 일거에 4분의 1로 줄인 셈이다.소행성은 태양빛을 반사해 빛을 낸다. 발견 때의
밝기
(17.5등급)와 거리로 부터 표면반사능률을 적당히 가정하면 1991BA의 지름은 9m로 계산된다. 이 또한 이제까지 발견된 소행성 중 가장 적은 수치다.9m의 소행성이라도 지구와 충돌 한다면 지구와의 상대속도가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있게 되는 날)이다.목성 사자자리에 있으며
밝기
는 -1.6 등급이다.토성 염소자리에 있으며
밝기
는 0.8 등급이다.이달의 유성우11월에는 두 개의 유성우를 볼 수 있다. 황소자리 유성군과 사자자리 유성군이 바로 그들이다. 황소자리 유성군은 활동하는 기간이 길다는게 특징인데 11월 3일에서 13일까지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제품을 양산할 수 있을 뿐더러 복사를 통해 영상의 표현방법을 다양하게 하고 화면의
밝기
를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복사홀로그램을 제작하는 방법은 (그림6)과 같다. 완성된 홀로그램을 다시 재생하고자 할 때는 제작 때 사용됐던 기준파와 거의 유사한 파동을 같은 각도로 비추어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 대적반은 길이가 4만㎞ 폭이 1만㎞ 정도의 저기압 부위라고 생각되는데 세월에 따라
밝기
크기 색상이 변하는 목성관측의 명소다. 최근에는 탐사위성으로 목성에도 토성과 같은 띠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밀도가 희박해 지구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토성은 그가 두르고 있는 띠 덕분에 많은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알려져 있다. 컴퓨터모니터를 오랜시간 들여다 보아야 하는 은행원에게는 모니터화면의
밝기
, 화면의 떨림상태, 전자파의 발생강도, 눈높이와의 차이 등 여러가지의 변수들이 근무능률이나 쾌적감 등에 영향을 미친다. 6백만불 사나이와 원더우먼최근에는 우리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감각기관을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노트북까지의 고성능 표시장치들로서는 앞서 살펴본 여러가지 평판 표시장치들의
밝기
분해능 대비율 정보용량 동작수명 사용자와의 접속용이성 전력소모량 제조단가 동작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다음 각 표시장치의 장단점과 활용도에 적합하게 그 시장을 개척해나가야할 것이다국내에서도 ... ...
블랙홀인가, 또 다른 미지의 천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 또 그것이 감마선을 방사한다는 것에 찬성하지 않는 것이다. 더군다나 대파괴원의
밝기
가 불규칙적으로 변하는 원인은 블랙홀이론으로 해석조차 못하고 있다.캘리포니아공대의 프린스는 대파괴원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를 검출했다. 미국과 독일이 공동으로 쏘아올린 ROSAT위성은 이 천체로부터 ... ...
천랑성의 색깔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미미하며 흰 것이 붉게 변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또한 별들 중에는 색깔은 변하지 않지만
밝기
가 달라지는 것들이 있다. 페르세우스 자리의 알골이라 불리는 별은 주기적으로 점차 희미해지다가 다시 밝아지다가 한다. 알골은 이중성으로서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훨씬 크고 희미한 것이 명백하다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란 이름으로 불려진다. 이 별은 밝은 오렌지색의 초거성으로 5백광년의 거리에 있으며
밝기
는 2.4등급이다.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을 이용해 이 별을 보면 8등급의 동반별을 확인할 수 있다.에니프 서쪽 위로 이 별자리의 가장 큰 보물인 구상 성단 M15가 있다. 이것은 매우 흐릿해서 정상적인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드 세소(J.L.de Cheseaux)가 처음 알아냈고 후에 올버스(H. Olbers)가 완성했다. 만일 똑같은 평균
밝기
로 별이 골고루 퍼져있다면 아주 단순한 계산에 따라 우주의 어떤 주어진 점에 도달하는 별빛의 전체광속(flux)은 무한하다는 결과에 도달된다. 그렇게 되면 어두운 밤하늘 대신에 용광로처럼 훨훨 타는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